[해양학] 갯벌에 관련되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23 20:02
본문
Download : [해양학] 갯벌에 대해서.hwp
펄이 더 많으면 모래펄갯벌, 모래가 더 많으면 펄모래갯벌(tidal muddy sand flat)로 구분할 수 있다. 유기물 함량은 대체로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 갈수록 차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지역에 따라서 상부와 하부로 구 분되며 모래와 펄의 비율이 각각 다양하다.
다.
①모래갯벌(간사지, 干砂地, tidal sand flat) : 바닥이 주로 모래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저질 의 경우 모래알갱이의 평균(average) 크기는 0.2~0.7mm 정도이며, 유기물 함량은 1~2%이고 이 질(異質, 미사와 점토성분)은 4%로 적은 편이다. 이질함량이 98%, 유기물 함량이 10%이상이며 함수량도 높아 매우 질퍽하고 갯벌의 깊이가 깊다.
②펄갯벌(간석지 干潟地, tidal mud flat) : 모래질이 차지 하는 비율이 10%이하이나 펄 함 량은 90%이상에 달한다.설명
[해양학] 갯벌에 관련되어 - 대학 report 제출
레포트 > 기타
[해양학] 갯벌에 대해서 - 대학 레포트 제출자료
[해양학] 갯벌에 관련되어
2.갯벌의 유형
갯벌에 대해서
Download : [해양학] 갯벌에 대해서.hwp( 92 )
1.갯벌(tidal flat)이란 무엇인가?
갯가의 넓고 평평하게 생긴 땅을 말하며 일반적으로는 조류에 의해 운반되는 점토나 실트 등의 미세입자가 파랑의 작용을 적게 받는, 즉 파도가 잔잔한 해안에 오랜 기간 동안 쌓이 므로서 생기는 평탄한 작용을 말한다.
순서
[해양학] 갯벌에 대하여
![[해양학] 갯벌에 대해서-3167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5/%5B%ED%95%B4%EC%96%91%ED%95%99%5D%20%EA%B0%AF%EB%B2%8C%EC%97%90%20%EB%8C%80%ED%95%B4%EC%84%9C-3167_01.gif)
![[해양학] 갯벌에 대해서-3167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5/%5B%ED%95%B4%EC%96%91%ED%95%99%5D%20%EA%B0%AF%EB%B2%8C%EC%97%90%20%EB%8C%80%ED%95%B4%EC%84%9C-3167_02_.gif)



③모래펄갯벌(tidal sandy mud flat) : 혼성갯벌이라고도 하며 모래와 펄이 각각 90%미만 으로 섞여 있는 퇴적물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