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휴먼이 몰려온다 사이보그 내용 정리(整理) 요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9 21:34
본문
Download : 사이보그와 포스트휴먼.hwp
사이보그-인간에서 초인으로? 기계가 된 인간(이영의) 내용 정리(整理)
1. 사이보그는 누구인가?
<공간기동대>의 부제는 ‘고스트 인 더 셸 Ghost in the shell’인데 여기서 의체는 ‘껍질 shell’이고 그 껍질 안에 들어 있다고 가정되는 것은 고스트 ghost이다.
사이보그와 포스트휴먼 사이보그-인간에서 초인으로? 기계가 된 인간(이영의) 내용 정리 *<<포스트휴먼이 몰려온다>>(신상규 외 지음, 아카넷, 2020) <목차> 1. 사이보그는 누구인가? 2. 진짜 사이보그, 케빈 워릭과 휴 허 3. 인간의 왜 사이보그를 꿈꾸는가? 4. 허물어진 경계, 인간-기계 5. 호모 데우스의 불안
설명
포스트휴먼이 몰려온다 사이보그 내용 정리(整理) 요약
5. 호모 데우스의 불안
3. 인간의 왜 사이보그를 꿈꾸는가?
사이보그와 포스트휴먼
1989년에 나온 시로 마사무네의 만화 <공각기동대>는 사이보그 탄생과정을 보여준다.
4. 허물어진 경계, 인간-기계
순서
*<<포스트휴먼이 몰려온다>>(신상규 외 지음, 아카넷, 2020)
포스트휴먼이 몰려온다, 사이보그, 인공지능, 호모 데우스
2. 진짜 사이보그, 케빈 워릭과 휴 허
<목차>
1. 사이보그는 누구인가?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Download : 사이보그와 포스트휴먼.hwp( 27 )





다. 사이보그는 전뇌로 생각하고 의체를 조종한다. <공각기동대>는 이후 여러 次例(차례) 만화영화와 실사영화로 제작되었는데 그중 대중에게 잘 알려진 것은 1995년 극장판 만화영호와 2017년 루퍼트 샌더슨이 감독한 영화다. 그렇게 가정된 것을 영혼이나 마음이 아니라 고스트라고 부른 이유는, 고스트가 영혼이나 마음이 존재하는 방식과 사뭇 다르게 존재하기 때문이다. 사이보그는 의체라는 기계적 요소와 전뇌라는 생명체의 요소가 결합한 존재다. 1995년 극장판 영화에서는 사이보그의 탄생 과정을 그리는데 우선 ‘의체’라는 몸이 만들어진다. 자연적인 것이 있다 사이보그의 뇌는 인간 뇌인데, 전자장치에 연결된 ‘전자화된 뇌’ 즉 ‘전뇌’다. <공각기동대>의 사이보그는 사고로 몸이 손상된 인간의 뇌를 추출하여 전뇌화하여 의체에 넣어 제작된다된다. 사이보그의 몸이 모두 인공적인 것은 아니다. 의체는 타고난 몸이 아니라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