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당수 SW벤처도 40억 이하 공공사업 참여길 막힌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4 15:23
본문
Download : 111206012637_.jpg
government 연구기관 한 관계자는 “대기업 그룹사 참여만을 제한하는 것으로 알았다”면서 “중소기업이나 마찬가지인 중견기업까지 참여를 막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改善 necessity need을 들었다. 박양균 한국중견기업연합회 조사기획팀장은 “각 업종에서 전culture로 큰 회사들이 단숨에 대기업으로 분류되면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회사를 더 키워 고용을 창출해야 할 곳이 오히려 규제로 인해 중소기업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상당수 SW벤처도 40억 이하 공공사업 참여길 막힌다
government 는 지난달 11일 개정안에 대해 입법예고 성격인 ‘행정예고’를 하고 업계 견해 을 받고 있다아 견해 에는 대기업으로 분류되는 중견·벤처기업 처리문제도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내년에는 3년 평균 매출액이 1500억원 이상이거나 자기자본이 500억원을 넘으면 유예기간 없이 중소기업을 졸업한다.
순서
다.
상당수 SW벤처도 40억 이하 공공사업 참여길 막힌다
연매출 규모로 중소기업 범위를 넘어 대기업으로 분류된 한 전자자원관리(ERP) 업체 경영자는 “중소기업기본법이 정한 중소기업 범위를 약간 초과한다고 해서 대기업 제한 조치에 함께 적용되는 것은 불합리하다”며 “그동안 20억원 이하 참여제한 규정을 어렵게 견뎌왔지만 하한선이 40억원으로 올라간다면 이젠 공공사업 참여의 꿈은 접어야 할 처지”라고 하소연했다.
*data(資料):지식경제부(11월11일 행정예고)
내년 1월 1일부터는 다우기술·씨큐어넷·알티캐스트·에스넷시스템·조은시스템 등 대기업으로 신고한 SW 중견 및 전문기업들은 ‘매출액 8000억원 미만 대기업’으로 분류돼 40억원 미만 공공사업에 참여하지 못한다. government 는 수렴한 견해 을 검토한 후 고시를 확정, 이달 말에 발표하고 다음 달 시행한다.
상당수 SW벤처도 40억 이하 공공사업 참여길 막힌다
상당수 SW벤처도 40억 이하 공공사업 참여길 막힌다
레포트 > 기타
김준배기자 joon@etnews.com
설명
현행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에는 대기업을 ‘중소기업에 해당하지 않는 기업(시행령 17조의 4)’으로 定義(정의)한다. 올해 이 회사는 매출 1000억원 돌파가 예상되지만 중소기업으로 분류된다.
<표>공공 SW사업 대기업 참여 하한금액 변경내용
government 는 중소기업 사업기회 확대를 위해 내년 1월 1일부터 매출 8000억원 미만 대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공공사업 금액 하한선을 기존 20억원 이하에서 40억원 이하로 두 배 인상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아 government 가 예외 규정을 마련하지 않을 경우 40억원 이하 공공사업에 대기업 계열 IT서비스 기업 참여를 제한하려는 government 취지와는 다르게 SW 중견 및 전문기업까지도 불이익을 당할 처지에 놓였다.
전문가들도 제도 취지가 그룹 그룹사 참여를 제한하려고 한 만큼 중견·벤처기업 참여를 막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5일 전자신문이 입수한 ‘SW 사업자 신고기업 現況(현황) ’ data(資料)에 따르면 대기업으로 분류된 SW업체는 340여곳에 달하며 대기업 계열 IT서비스 기업이 아닌 SW 중견 및 전문기업도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중소기업을 갓 졸업한 기업이나 산업발전법상 중견기업도 대기업으로 분류된다.





Download : 111206012637_.jpg( 25 )
government 가 추진 중인 ‘공공 SW사업 대기업 참여 하한 금액 인상’ 방침에 따라 소프트웨어(SW) 중견 및 전문기업 상당수가 내년부터 공공사업 참여에 제한을 받을 展望(전망) 이다.
정대진 지식경제부 소프트웨어산업과장은 “산업발전법상 중견기업에 대해선 구제조항을 만들 수 있는지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2008년 이후 신고한 기업들도 다시 중소기업 요건을 갖춘다면 중소기업으로 재분류될 가능성은 있다아 유사한 example(사례) 가 안철수연구소다. 3년 평균 매출액이 1500억원 이상, 자기자본 비율이 500억원을 넘는 기업이 그 대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