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직후 공산당에 대한 소련의 입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21:32
본문
Download : 해방직후공산당에대한소련의입장.hwp
1. 국내 공산주의자들과의 조우 , , 2. 두 공산당의 분쟁과 소련의 개입 , , 3. 조선인민공화국의 딜레마, , 4. 맺음말, filesize : 38K
설명
1. 국내 공산주의자들과의 조우 , , 2. 두 공산당의 분쟁과 소련의 개입 , , 3. 조선인민공화국의 딜레마, , 4. 맺음말, FileSize : 38K , 해방직후 공산당에 대한 소련의 입장인문사회레포트 , 해방직후 공산당 소련 조선 인민
순서
해방직후,공산당,소련,조선,인민,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해방직후공산당에대한소련의입장.hwp( 12 )
해방직후 공산당에 대한 소련의 입장
레포트/인문사회





1.국내 공산주의자들과의 조우 일제시기 소련은 주로 1923년 서울에 설치된 소련총영사관을 토해 식민지 조선의 사정을 파악했다. 반면 주로 지하에서 활동한 조선곤산주의자들의 면면을 인식하기란 어려울 수밖에 없었고 더구나 이들과의 접촉은 거의 불가능해 보였다. 이데올로기적, 정치적 일치성을 갖는 공산주의자들과의 연대가 우선이었던 것이다. 샤브신을 중심으로 한 소련영사관특은 비교적 자유로운 해방공간에서 조선공산주의자들과의 연계를 통해 그들의 활동에 관한…(skip)
다. 조선공산주의자들은 해방이 소련의 결정적 역할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신념을 갖고 있었다. 박헌영은 이 범주에 포함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그러나 총영사관은 일제의 엄중한 감시 속에서 조선인과의 교류 활동에 엄격한 제약을 받았지 때문에 조선 내 민족해방운동 세력의 동향을 파악하기는 매우 어려웠다. 공배활동을 한 국외 민족주의세력의 비교적 소상한 정보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국내 공산주의자들 중에는 이후 코민테른에 파견되어 활동한 이들이 적지 않다. 소련은 남과북을 불문하고 현지의 줌심적 동반자로 삼고자 했던 세력은 말할 것도 업이 공산주의자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