管鮑之交(관포지교) - 管(관)대롱, 鮑(포)어물, 交(교)사귀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1 03:32
본문
Download : 管鮑之交(관포지교) - 管(관)대롱, 鮑(포)어물, 交(교)사귀다.hwp
`라는 관중의 표현대로 포숙은 관…(skip)
다. 교우 관계가 자신의 ...
자신이 역경(逆境)에 처했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친구를 두고 있다면 그러한 친구야 말로 진정한 친구라고 할 것입니다.hwp( 26 )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자신이 역경(逆境)에 처했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친구를 두고 있다면 그러한 친구야 말로 진정한 친구라고 할 것입니다. 우리나라 역시 조선조 명종대(明宗代)의 오성과 한음 역시 관중과 포숙에 비교할 수 있는 교분이 두터운 우정어린 인물이라고 볼 수 있겠지요.
`나를 나아 준 분은 부모님이지만 나를 알아준 이는 포숙이다. 조선조의 실학자 담헌 홍대용(洪大容)은 교분이 있는 중국(中國) 교우(交友)에게 보낸 편지에서 친구라는 것은 서로가 책선(責善: 선행을 하도록 권하는 것)과 보인(輔仁: 서로 도와 인(仁)을 권하는 것)을 해주는 것이라고 definition 를 내렸고, 《논어(論語)》에서 공자(孔子)는 `한 해가 추워진 연후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든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했듯이 진정한 친구도 역시 어려운 역경에서 그 진가가 발휘되는 것입니다.管鮑之交(관포지교) - 管(관)대롱, 鮑(포)어물, 交(교)사귀다
%20-%20%E7%AE%A1(%EA%B4%80)%EB%8C%80%EB%A1%B1,%20%E9%AE%91(%ED%8F%AC)%EC%96%B4%EB%AC%BC,%20%E4%BA%A4(%EA%B5%90)%EC%82%AC%EA%B7%80%EB%8B%A4_hwp_01.gif)
%20-%20%E7%AE%A1(%EA%B4%80)%EB%8C%80%EB%A1%B1,%20%E9%AE%91(%ED%8F%AC)%EC%96%B4%EB%AC%BC,%20%E4%BA%A4(%EA%B5%90)%EC%82%AC%EA%B7%80%EB%8B%A4_hwp_02.gif)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