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법상 상병보상연금 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10 22:06
본문
Download : 산재법상 상병보상연금 제도.hwp
Ⅲ. 지급액
1. 원칙
상병보상연금 지급은 근로자의 평균(average)임금에 폐질등급별로 정해진 일수 곱한 금액을 지급하는 것이 원칙이다.
2. 취지
이러한 상병보상연금제도를 실시하는 취지는 폐질등급이 1~3급 사이의 산재근로자가 요양이 장기화됨에 따라 해당 피재근로자와 그 가족의 생활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휴업급여 대신 보상수준을 향상시켜 지급하게 되는 保險(보험) 급여 제도이다. (1급-평임 329일분, 2급…(To be continued )
산재법상 상병보상연금 제도
산재법상 상병보상연금 제도
Download : 산재법상 상병보상연금 제도.hwp( 33 )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산재법상 상병보상연금 제도 , 산재법상 상병보상연금 제도인문사회레포트 , 산재법상 상병보상연금 제도
설명
다.
2. 당해 부상/질병이 치유되지 않은 상태이어야 한다.


산재법상,상병보상연금,제도,인문사회,레포트
상병보상연금 제도에 대한 법적 검토
Ⅰ. 의의와 취지
1. 의의
산재법상 상병보상연금이란 피재근로자가 그 상병을 위한 요양이 장기화되고 당해 상병에 의한 폐질의 정도가 1~3급에 해당되는 경우 지급하는 급여를 의미한다.
3. 산재 수준이 1~3급의 폐질등급기준에 해당되어야 한다.
Ⅱ. 지급요건 (산재법 시행령 규정)
1. 요양개시 후 2년이 경과하였을 것
이는 최초 요양뿐만 아니라 재요양 이후 2년이 경과한 경우에도 이에 해당된다 다만 1~3급의 장해보상연금을 받고 있는 자가 재요양하는 경우나 장해보상일시금을 수령한 외국인 근로자가 재요양하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