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군주와 타이 사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04 10:20
본문
Download : 절대군주와 타이 사회.hwp
‘마하탐마라차’는 상좌부(上座部 Theravada)불교 경전언어인 팔리(Pali)어의 ‘마하 담마라자’(mahā dhammarāja)에서 파생한 것으로, ‘불법(佛法)에 입각한 위대한 왕’을 뜻한다.
절대군주와 타이 사회
th322
순서
레포트/기타
Download : 절대군주와 타이 사회.hwp( 37 )
th322 , 절대군주와 타이 사회기타레포트 ,
,기타,레포트
설명






힌두교적 왕권: 신격화된 데바라자 왕권 concept(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람캄행 왕 시대 ‘포쿤’의 concept(개념)에 포함되어 있는 불교적 왕권은 수코타이 시대 말기인 리타이(Lithai 재위 1347-1368) 왕 때 보다 구체적인 성격을 띠고, 아유타야 시대(1351-1767) 이후 태국 왕들의 왕권에서 제도화되어 보다 명백한 형태를 취한다. 그는 이미 왕자 시절에 불교의 우주론인 ꡔ뜨라이부미까타ꡕ(Traibhumikatha 三界論)를 쓸 정도로 불교에 깊은 관심을 지녔다. 리타이 왕은 종종 “마하탐마라차(Mahathammaracha) 1세”라고도 불리는 그 칭호에서 짐작할 수 있는 것처럼, 강한 불교적 성향을 지녔던 인물로 보인다. Griswold, A. B. and Prasert Na Nagara(1975), op.cit., p.50.
1361년에 세운 비문에 의하면, 그는 불교경전 총체인 삼장(Tripitaka 三藏) 가운데 특히 율장(Vinaya 律藏)과 논장(Abhidhamma 論藏)을 공부했으며 10가지 왕으로서의 덕목에 합당한 통치…(drop)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