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탁환, 정재승의 눈 먼 시계공을 읽은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30 07:25
본문
Download : 김탁환, 정재승의 눈 먼 시계공을 읽.hwp
테세우스의 배가 100개의 나뭇조각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자. 풍랑을 헤치며 생긴 구멍을 메우고 항해를 계속하면서 이 ‘나뭇조각들’은 계속하여 교체된다된다. 부디 많은 이용을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마침내 51개째가 교체되는 순간이 온다. ‘인간의 육체’를 그대로 간직한 ‘자렘’은 그런 ‘고철마을’의 ‘사이보그’들을 경멸한다
다.
‘테세우스의 배’라는 역설이 있다 이러한 역설이다.
레포트 > 기타
Download : 김탁환, 정재승의 눈 먼 시계공을 읽.hwp( 25 )





김탁환, 정재승의 눈 먼 시계공을 읽은후
김탁환, 정재승의 눈 먼 시계공을 읽은후 최선을 다해서 작성한 독후감입니다. 나의 몸을 순식간에 양자단위까지 분해해 완전하게 다른 공간에서 양자단위부터 재구성해낸다. 이분법적이기도 한 이 세계는 지상의 ‘고철마을’과 하늘의 ‘자렘’으로 나뉘어 있다 고철마을은 살아남기 위해 인간의 몸을 떼어내고 보다 강한 기계 육체로 개조하는 경우가 허다한 짐승들의 세계다.
비슷한 가정을 하나 더 해볼 수 있다 이번에는 future 에 대한 상상이다. 그렇다면 한국에 있던 ‘나’와 브라질에 순간이동하고 나타난 ‘나’는 동일 인물일까?
만화 ‘총몽’은 사이보그들의 세계다.
설명
순서
김탁환, 정재승의 눈 먼 시계공을 읽고 최선을 다해서 작성한 독후감입니다. 순간이동 기계가 발명되었다. 그렇다면 이 순간 이 배는 여전히 ‘테세우스의 배’인가?
독후감, 감상문, 김탁환, 정재승, 눈먼시계공, 테세우스의 배, 역설, 미래에 대한 상상, 순간이동
본문내용
부디 많은 이용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