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濊)와 이(夷)의 명칭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11 16:55
본문
Download : 예(濊)와 이(夷)의 명칭에 관하여.hwp
이병도는 예와 맥을 이중시함은 잘못이고 이는 china말로 Houei-mai의 고대음 Khouei-mai를 따서 곰 토템, 신성을 의미하는 <고마>를 나타낸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부여, 동예를 맥으로만 쓰거나 고구려, 옥저를 예족으로 쓰는 경우는 예외 이외에는 안 쓴다.…(skip)
다.
또 예는 예, 예 등 글자로도 보이고 맥도 학, 맥 등으로 나올 때가 있는데 이병도는 예보다 예가 먼저 나왔고 맥보다는 맥이 타당하다고 하였으나, 본고에서는 예가 먼저 나왔고 맥도 맥이 먼저 나온 후 맥과 낙으로 이어진다고 보고 있다아 그 이유는 복잡하게 생각할 것 없이 자전에서의 음가구성 추정만으로서도 명백하기 때문일것이다 소리는 음운의 변동이 심하더라도 음가적 요소는 좀체로 없어지지 않고 뒷날까지 유지한다고 보고 구성하는 것이다.순서
2. 예는 Kala, 맥은 Koma, 이는 역사(歷史)의 근원
설명
Download : 예(濊)와 이(夷)의 명칭에 관하여.hwp( 14 )
레포트/인문사회
그런데 여기서 이, 예, 맥 등은 어떤 뜻이며 왜 그런 글자로서 한인의 조상을 나타내는...
,인문사회,레포트
예(濊)와 이(夷)의 명칭에 관하여
%EC%99%80%20%EC%9D%B4(%E5%A4%B7)%EC%9D%98%20%EB%AA%85%EC%B9%AD%EC%97%90%20%EA%B4%80%ED%95%98%EC%97%AC_hwp_01.gif)
%EC%99%80%20%EC%9D%B4(%E5%A4%B7)%EC%9D%98%20%EB%AA%85%EC%B9%AD%EC%97%90%20%EA%B4%80%ED%95%98%EC%97%AC_hwp_02.gif)
%EC%99%80%20%EC%9D%B4(%E5%A4%B7)%EC%9D%98%20%EB%AA%85%EC%B9%AD%EC%97%90%20%EA%B4%80%ED%95%98%EC%97%AC_hwp_03.gif)
%EC%99%80%20%EC%9D%B4(%E5%A4%B7)%EC%9D%98%20%EB%AA%85%EC%B9%AD%EC%97%90%20%EA%B4%80%ED%95%98%EC%97%AC_hwp_04.gif)
%EC%99%80%20%EC%9D%B4(%E5%A4%B7)%EC%9D%98%20%EB%AA%85%EC%B9%AD%EC%97%90%20%EA%B4%80%ED%95%98%EC%97%AC_hwp_05.gif)
%EC%99%80%20%EC%9D%B4(%E5%A4%B7)%EC%9D%98%20%EB%AA%85%EC%B9%AD%EC%97%90%20%EA%B4%80%ED%95%98%EC%97%AC_hwp_06.gif)
2. 예는 Kala, 맥은 Koma, 이는 역사의 근원그런데 여기서 이, 예, 맥 등은 어떤 뜻이며 왜 그런 글자로서 한인의 조상을 나타내는... , 예(濊)와 이(夷)의 명칭에 관하여인문사회레포트 ,
2. 예는 Kala, 맥은 Koma, 이는 歷史의 근원
그런데 여기서 이, 예, 맥 등은 어떤 뜻이며 왜 그런 글자로서 한인의 조상을 나타내는 부족명으로 쓰이게 됐는가를 짚고 넘어가야 한다. 그러나 예와 맥은 한데 붙여쓰기도 하지만 따로 떼어나오기도 한다. 가령 부여나 동예는 예로만 나올 때가 있고, 고구려나 옥저는 맥으로만 나오기도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