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e리서치]온라인 선거운동 규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07 16:09
본문
Download : 070627103512_.jpg
순서
[e리서치]온라인 선거운동 규제
정치적 현안에 대한 의사표현 방식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과반수인 53.1%가 ‘생각은 있지만 어떠한 표현도 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전자신문사와 on-line 리서치 전문업체인 엠브레인(대표 최인수 www.embrain.com)이 지난 22일부터 25일까지 나흘간 전국 10대 이상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on-line 선거운동 규제’ 설문 조사 결과 선관위 결정에 찬성하는 意見(의견)이 47.4%로 반대 意見(의견) 33.1%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학생의 경우 ‘정치 관련 기사에 댓글 등으로 표현한다’는 응답자가 타 직업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다. 반면, 응답자의 18.6%는 ‘대선 관련 기사만 빼고 여전히 의사표현을 하겠다’고 밝혔고, 13.2%는 ‘이번 결정과 상관없이 정치적 의사표현을 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최근 선관위의 on-line 선거운동 규제 결정에 대하여는 전체 응답자의 57.9%만이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레포트 > 기타





[e리서치]온라인 선거운동 규제
이수운기자@전자신문, pero@
한편, 네티즌 10명 중 2명은 최근 3개월 동안 실제 on-line 상에서 특정 대선 후보를 지지하는 글이나 댓글을 올려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특히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이번 선관위 결정에 찬성하는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설명
선관위의 on-line 선거 규제 결정 이후 정치적 의사표현 여부에 대하여 응답자의 57.3%는 ‘별로 하고 싶지 않다’고 대답했다.
[e리서치]온라인 선거운동 규제
Download : 070627103512_.jpg( 68 )
[e리서치]온라인 선거운동 규제
네티즌 10명 중 절반가량은 누리망 포털 사이트 등에 특정 대선 후보를 지지 또는 반대하는 글이나 댓글을 올리지 못하게 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결정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향후에도 정치적 의사표현을 하겠다는 응답자가 약간 더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의 대부분인 77.3%는 최근 3개월간 특정 대선 후보 지지 댓글 등을 올린 적이 없다고 대답했다. ‘정치 관련 기사에 댓글 등으로 표현한다’는 응답자가 23.1%로 뒤를 이었으며 ‘정치에 별로 관심이 없다’는 응답자도 17.8%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