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story.kr 강원도방언연구 > tistory5 | tistory.kr report

강원도방언연구 > tistory5

본문 바로가기

tistory5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강원도방언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17:15

본문




Download : 강원.hwp





사투리 방언 강원도사투리 강원도방언 / ()

1. 음운

金亨奎 金亨奎, 《國語學槪論(增補版)》, 一潮閣, 1983, p.209.
3. 어휘
list_blank.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는 《國語學槪論(增補版)》에서 함경방언, 평안방언, 중부방언, 경상방언, 전라방언, 제주방언으로 나누어 강원방언은 中部方言에 속하는 것으로 보았다. 여기에서 강원방언은 일부는 경상방언으로 일부는 경기방언으로 짜여졌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Ⅰ. 서 론
강원도방언연구
은 《朝鮮語方言試攷》에서 中鮮方言, 西鮮方言, 北鮮方言, 南鮮方言, 濟州島方言 등으로 나누었으나 이름만 다를 뿐 小倉進平과 구획은 동일하다.

Ⅲ. 강원도 방언권과 방언의 분화

는 《國語學槪論》,〈方言論〉에서 경상도방언, 전라도방언, 충청도방언, 함경도방언, 평안도방언, 경기도방언, 제주도방언으로 나누었으나 강원도방언은 함경, 황해, 경기, 충청, 경상도 방언에 둘러 싸여 독특한 방언권을 이루지 못한다고 기술하였다.
설명
사투리 방언 강원도사투리 강원도방언

Ⅴ. 결 론
2. 강원도 방언의 통시성



Download : 강원.hwp( 69 )


순서

그리고 河野六郞 河野六郞, 《朝鮮語方言試攷》, 東都書籍, 1945, p.152.

1. 국어학에서 강원도 방언권

다. Ⅳ. 강원도 방언의 특징
小倉進平 小倉進平,《朝鮮語方言の硏究》下卷, 岩波書店, 1944, pp.664~665.
2. 강원도 방언의 분화
1. 강원도 개관
을 참조하였다.
1. 국어학에서 강원도 방언권
2. 문법


Ⅱ. 강원도 개관 및 강원도 방언의 통시성

사투리 방언 강원도사투리 강원도방언 / ()
강원도 방언권은 지금까지 진행된 논의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다음의 연구사는 이상복의 것 이상복, 〈江原道 嶺東⋅西 交叉地域 文化調査 報告(Ⅰ)(方言部門)〉,《江原文化硏究》第4輯, 江原大 江原文化硏究所, 1984.
康允浩 康允浩,《國語學槪論》,〈方言論〉, 首都出版社, 1965, p.255.



은 慶尙方言, 全羅方言, 咸鏡方言, 平安方言, 京畿方言, 濟州島方言 등으로 국어의 방원권을 나누었다.
Total 17,659건 924 페이지

검색

REPORT 11(sv76)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wantone.tistory.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wantone.tistory.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