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보조동사의 속성 과 판별기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1 17:42
본문
Download : 국어 보조동사의 특성과 판별기준.hwp
1. 구문론적 특성 보조동사의 구문론적 특성은 보조동사만의 특성과 합성어나 접속문 중 한 쪽과 구별되는 것으로 양분된다.
보조동사는 부사어와의 관계에서 두…(drop)
2. 의미적 特性(특성)
다.
명제 대용어와의 결합 가능성이란 보조동사가 문장을 대용하는 “그래” 따위의 낱말에 직접 결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동일 형태의 선행 용언 사용은 “-어”형 보조동사 가운데 “버리다”,“보다”,“두다”,“가다”,“놓다” 등 몇 형태에만 가능하다는 제약이 있따 동일 형태의 연속 사용은 보조동사가 선행하는 동일 형태와 다른 의미 기능을 표현한다는 단적인 증거이다. 전자에는 자립성의 결여, 논항 수와의 무관성, 명제 대용어와의 결합 가능성, 임의 drop 가능성, 동일 형태의 선행 용언 사용 가능성이 있따 후자에는 부사어 제약과 보조동사의 연속 사용, 내적 비분리성, 문장 명사류의 직접 지배 관계, 주체 높임과 시상 표현이 속한다. 이 特性(특성)은 보조동사가 선행 용언과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앞선 명제와 직접 관련된다는 사실을 잘 보여 준다. 또 몇 형태에만 가능하다는 제약에도 불구하고 동일 형태를 연속 사용할 수 있는 부류가 없으므로 매우 중요한 特性(특성)이다. 전자에는 자립... , 국어 보조동사의 특성과 판별기준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보조동사의 구문론적 속성 은 보조동사만의 속성 과 합성어나 접속문 중 한 쪽과 구별되는 것으로 양분된다 전자에는 자립...
1. 구문론적 속성
설명






국어 보조동사의 속성 과 판별기준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국어 보조동사의 특성과 판별기준.hwp( 94 )
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