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으로 보는 조선왕조 오백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25 23:09
본문
Download : 왕으로 보는 조선왕조 오백년.hwp
성격은 과묵하고 책임감이 누구보다도 강하였고 부하를 아끼고 사랑하였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였고 대담하였으며, 특히 활을 잘 쏘아 20세가 되기 전에 명궁으로 이름을 날리고 있었다.왕으로 보는 조선왕조 오백년
설명
태조 (1335 - 1408)
출 생 : 1355년 이자춘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성계의 등장과 활약상 : 고려말 공민왕의 반원정책에 힘입어 최영 장군과 함께 원나라 군사를 토벌하는데 큰 공을 세워 이를 계기로 태조 이성계는 세력을 넓혀갔고 전라도 일대의 왜구를 격퇴시켰을 뿐만 아니라 오랑캐를 무리치는 등 승승장구함. 이같은 활약상으로 벼슬이 높아지고 명성이 나라안에 자자함.
위화도 회군 : 명나라를 공격하여 요동 땅을 되찾으라는 우왕의 명령에 `4불가론`을 내세우며 말머리를 개경으로 돌려 회군함. 이로 인하여 이성계는 고려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세력들의 추대를 받아 새로운 나라를 세우는 계기를 마련함.
4불가론 :
1) 작은 나라로서 큰 나라를 치는 것은 불가함,
2) 여름에 군사를 일으키는 것은 불가함,
3) 요동으로 군사를 일으키면 왜구가 침공해 올 수도 있다는 가능성
4) 장마철이라 활의 아교가 녹아 풀어지며 군사들이 전염병에 시달릴 염려가 있어 불가함.
태…(drop)왕3333 , 왕으로 보는 조선왕조 오백년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Download : 왕으로 보는 조선왕조 오백년.hwp( 92 )
왕3333
다.
당시의 시대적 배경 : 북으로는 14세기 중반에 일어난 명나라가 원나라를 차지하기 위해 대륙은 혼란하였고, 남으로는 왜구들의 끊임없는 노략질로 백성들이 많은 피해를 보고있는 혼란한 상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