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inary Tract Infection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21 07:51
본문
Download : Urinary Tract Infection.hwp
UTI , Urinary Tract Infection의약보건레포트 ,
Urinary Tract Infection
설명
순서






1. 개요
1) 소아에서 가장 흔한 세균성 질환
2) 조기 진단하여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신 손상 야기
3) 영유아에서 비특이적인 증상만 보이는 경우가 흔함
→ 요인 불명의 발열을 보이는 경우 항상 요로 감염의 가능성을 생각4) 상당수에서 요로계 이상을 동반하므로 항생제 치료 후 요로계 영상 검사를 시행
→ 요로계 기형과 신반흔을 진단5) renal insufficiency와 end-stage renal disease의 중요한 위험 요인
2. 빈도
1) 여아: 3~5%, 남아: 1%
2) 신생아기, 영아기: 남아에서 발생빈도 높음(남녀비 3~5: 1)
3) 영아기 이후: 여아에서 발생빈도 높음( 남녀 비 1: 10)
3. 분류 및 정의(定義)
1) 방광염( 하부 요로 감염) : 방광까지만 국한된 감염
2) 급성 신우신염(상부 요로 감염, 급성 세균성 신염): 신우 및 신실질까지 파급된 감염
3) 무증상 세균뇨(asymptomatic or Covert bacteriuria)
∙ 요로 감염의 증상 없이 소변에 세균이 존재하는 상태∙ 대부분 여아에서 흔하면 대부…(To be continued )
4. 감염 경로
1) 상행성 감염: 대부분을 차지
2) 혈행성 감염: 드묾
5. 발병 기전
1) 정상 국소 방어 기전( 남아의 긴요도, 규칙적인 배뇨)이 결여
2) 요로계 기형으로 인한 소변 정체로 방광벽의 국소 방어 작용이 깨져 세균의 증식
3) 남아의 포피에 존재하는 세균이 문제
6. 위험 요소
1) 숙주 위험 요소
① 여아
② 비포경 수술 남아
③ 방광 요관 역류
④ 폐쇄성 요로계 기형, 신경성 방광, 음순 유착
레포트/의약보건
Download : Urinary Tract Infection.hwp( 25 )
UTI
Urinary Tract Infection에 대한 자료입니다.,의약보건,레포트
Urinary Tract Infection에 대한 자료입니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