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표개발의 理論과 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21 09:48
본문
Download : 참고자료 D형.hwp
1) 지표의 개념
I. 지표의 개념과 정책지표의 의의
설명
2) 체계의 구조와 성과에 따른 지표의 체계
4) 정책집행의 결과에 대한 평가와 문제의 재정의(定義)과정에서의 활용
4) 정책분석지표와 정책평가지표
1) 추구가치에 따른 정책지표의 체계





1. 정책지표의 구조
일반적으로 지표(indicator)란 한 체제(system)의 조건과 change(변화)에 대한 간결하고 포괄적이며 균형 있는 판단을 제공하는 공공 통계치(public statistics)로서 정의(定義)되고 있다(노화준: 2001: 426-427). 넓은 의미에서 지표라는 용어는 지표로서 나타내고자 하는 체제의 조건과 change(변화)의 한 측면을 포착할 수 있는 개념(indicator concept), 그러한 개념을 측정(測定) 하기 위한 측정(測定) 도구(indicator measures), 그리고 그러한 측정(測定) 도구를 적용하여 측정(測定) 한 결과물인 구체적인 지표통계(indicator statistics)를 포함한다. 실제로 통계치는 측정(測定) 과정에서 나타나는 측정(測定) 오차 때문에 신뢰성과 타당성을 결여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분은 정책 선택에서 사용되는 통계에서 상당히 중요하다. Duncan MacRae, Jr(1985: 29-30)는 경제지표 또는 사회지표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측정(測定) 을 하고자 하는 개념, 지표 또는 측정(測定) 도구, 그리고 통계치를 혼동하기 때문에 혼란이 발생한다고 지적하고 있따 표준사회과학의 방법론에서는 전통적으로 개념과 측정(測定) 도구, 그리고 측정(測定) 결과로 나타난 통계치를 구분한다. 예를 들면, 주관적 복지(subjective well-being)라는 개념의 측정(測定) 도구는, “모든 것을 고려할 때 당신의 요즘 생활은 매우 행복함, 조금 행복함, 전혀 행복하지 않음 중에서 어느 쪽에 해당됩니까?”라는 설문항목일 수 있으며, 측정(測定) 값은 이러한 설문에 대한 응답자의 답변일수 있따
정책지표의활용 정책지표의개발절차 정책지표의유형 정책지표의구조 정책 지표 / (정책지표)
2. 정책지표의 유형
1) 외생변수와 내생변수에 의한 지표의 분류
III. 정책지표의 개발절차
정책지표의활용 정책지표의개발절차 정책지표의유형 정책지표의구조 정책 지표
3) 적용대상에 의한 분류
Download : 참고자료 D형.hwp( 55 )
IV. 정책지표의 활용
1) 문제정의(定義)와 目標(목표)설정과정에서 활용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 산출물의 표현형태에 의한 분류
정책지표의활용 정책지표의개발절차 정책지표의유형 정책지표의구조 정책 지표 / (정책지표)
정책지표개발의 理論과 방법
II. 정책지표의 구조와 유형
순서
1) 지표의 개념
2) 정책대안의 분석과 선택과정에서의 활용
2) 영역별지표와 정책지표
3) 정책집행의 모니터링과정에서의 활용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