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갑오개혁의 전개 과정과 탈 유학적 성격에 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5 06:23
본문
Download : 조보고서.hwp
행定義(정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삼정이 문란한 상태였고, 외부 특히 日本 의 상업자본주의에 의해 토착 경제가 완전히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하지만 그 성향이 공통적인 것은 아니었다.
1. 들어가며
[사회과학] 갑오개혁의 전개 과정과 탈 유학적 성격에 대한 고찰
설명
다. 즉, 갑오개혁이 日本 의 권유와 지원에 힘입어 추진하게 된 것일지라도 조선 유학적 봉건지배의 최후적인 위기단계에서 이루어진 개혁이라는 점으로 말미암아, 그 내용은 유학적 질서에서 진일보한 근대적인 성격을 지닌다.





1984년 6월 21일 日本 군의 경복궁 점령 이후 日本 은 대원군을 앞세워 민씨정권을 축출하고, 김홍집을 중심으로 한 온건개화파의 친일정부를 수립하였다. 세도정치의 폐해가 극명하게 드러났고, 매관매직이 성행했으며, 기존의 신분구조가 격동하고 있었다. 이러한 정치적 격변 가운데 정치 개혁보다 권력유지에 주안점을 둔 민씨정권은 청국에 파병을 요청하였다. 이미 조선에서 정치적 지배력을 구축하고 있던 청국은 이를 받아들였으나 日本 은 이를 거부하고 침략의 명분으로써 조선에 내정개혁을 요구하게 된다 민씨정권이 이를 내정간섭이라 하여 거절하자 日本 군은 7월23일 궁중에 난입하여 무력으로 민씨정권을 타도하고 흥선대원군을 다시 영입하는 한편 김홍집 등 개화파 인사들로 신내각을 구성하도록 하고 내정개혁을 추진하게 하였다.
다음은 대원군 파가 있다. 그리고 이 갑오농민봉기는 갑오개혁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조선조 말의 만성적인 체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과 운동이 여러 차원에서 전개 되었고, 신앙의 자유와 사회개혁을 요구한 운동이 갑오농민 봉기라 할 수 있다. 그 정부의 구성원은 유길준, 박준양, 김가진, 안경수, 권형진, 이원경, 이태용, 김학우, 조희연, 박용대, 조인승, 김종한, 어윤중, 김홍집, 김각현, 김윤식, 박정양, 오세창, 서동집, 이윤용 등으로서, 이들이 곧 1차 갑오개혁의 주도인물이 된다
2. 1차 개혁
갑오개혁의 전개 과정과 탈 유학적 성격에 대한 고찰
우선, 친일적 개화파가 있다. 청일양국이 주도한 가운데 양국 간에 전쟁의 기운이 높아지자 조선정부는 다시 양국군의 철수를 요청하였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서구의 文化(culture) , 특히 기독교, 천주교의 전래와 기존 유교와의 갈등 등으로 총체적인 위기를 맞이하고 있었다. 이들은 日本 군의 경복궁 점령에 지원하였으며, 김가진, 유길준, 안경수는 주일외교관 출신이고 조희연, 권형진은 日本 장교가 육성한 교련병대의 생도였다. 본 논의에서는 갑오개혁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에 대해 살피고, 어떠한 측면이 탈유학적 성격을 지니는지에 대해 논한다. 대원군은 이들을 이용해 갑오개혁에 影響(영향)력을 행사하고
Download : 조보고서.hwp( 12 )
갑오개혁
갑오개혁의 전개 과정과 탈 유학적 성격에 대한 고찰
① 1차 개혁의 주도 세력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이들은 민씨 정권에 있어서 소외되던 인물들로, 이전의 주도적 관료층과는 다른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순서
1894년 갑오농민봉기가 일어나자 농민군은 충청도와 경상도 및 전라도 일대를 세력하에 두게 되었고, 같은 해 6월에는 전라도 전주부를 함락시켰다. 그 성향과 관련하여 분류해 보자면 다음과 같다.
갑오농민봉기를 진압함으로써 갑오개혁이 스타트되어지지만, 유교적 기존체제를 변혁시키자는데 그 목표(goal)를 같이 하였다. 청국이 이를 수락하고 군대를 파견하자 日本 도 1884년의 천진조약을 빌미로 군대를 출동시켰다. 이것이 갑오개혁이며 이것의 계기는 계속 지속되어 온 시대적 history(역사) 적 개혁요구와 日本 의 내정간섭에 의한 것이라 볼 수 있는 것이다. 유길준, 김가진, 조희연, 안경수, 김학우, 권형진이 그들이다. 박준양, 이원경, 이태용이 이에 해당하는데, 이들은 갑오개혁에 있어서 중심적인 인물은 아니었다.
조선조 말은 한마디로 총체적인 위기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