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의 소성 한계 시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30 15:57
본문
Download : 흙의_소성_.hwp
흙의소성한계시험 소성한계시험 소성한계
[안전 및 유의 사항]
⑶ ⑵의 흙이 부스러져서 국수 모양으로 되지 않을 때에는 부슬부슬한 흙을 모아 함수비
시험을 하고 이를 소성 한계로 한다. 이때, 국수 모양으로 늘여지지
흙의 소성 한계 시험
1. 결과의 정리(整理)
않을 때는 N.P라고 기록한다.
⑴ #40체 통과 시료 약 15g 정도를 소성판 위에 펼치고 분무기로 증류수를 살수하면서
흙의소성한계시험 소성한계시험 소성한계 / (토질시험)
[실습 순서]
㈏ 국수 모양으로 한 흙이 3mm가 되기도 전에 끊어지면 시료의 함수비가 소성 한계보다 작기 때문에 물을 가하여 처음부터 시험을 다시 처음 한다.
㈐ 시료에 물을 가하여 지나치게 묽은 경우에는 공기 건조시키거나 노건조 시켜야 하며, 마른 흙을 넣어 시험하는 것은 충분히 포화 상태가 아니므로 피해야 한다.
설명
Download : 흙의_소성_.hwp( 59 )
순서
[시험 장치 및 기구]
⑵ 잘 뭉쳐진 흙덩이를 소성판 위에 놓고 손바닥으로 밀어 균일하게 지름3mm의 국수 모
[실습 순서]
다.
덩어리로 쉽게 만들어질 수 있도록 반죽한다.
2. 결과의 이용
흙의소성한계시험 소성한계시험 소성한계 / (토질시험)
레포트 > 기타





[실습goal(목표) ]
[관계 지식]
㈎ 국수 모양으로 한 지름 크기가 애매하게 되기 쉬우므로 미리 지름 3mm의 쇠줄이나 철근 등을 준비하여 두면 짐작하기에 좋다.
양으로 만들고, 이것이 부슬부슬해질 때까지 실시한다.
⑷ 측정(測定) 값의 정리(整理) , 계산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