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법]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발명의 결과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7 06:58
본문
Download : [특허법]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발명의 효과).hwp
III. 발생과 귀속주체
(1) 이 권리는 발명의 완성이라는 사실행위에 의하여 발생.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는 특허요건의 구비가 성립요건이라고 해석하는 견해가 있으나 실제로 특허요건을 구비하였는지 여부는 심사를 거쳐야 확인되는 것이므로 이것을 요한다고 해석할 필요는 없다 할 것이다(주해 참조).
VI. 이 전
II. 권리의 성질
[특허법]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발명의 결과 )
3. 출원전 승계
IV. 객 체
[도식 1]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의 출원 전후 승계시 법상 취급
국가에 대하여 특허부여를 청구하는 공권이라는 견해와 발명의 지배를 목적으로 하는 사권이라는 견해가 대립. but 이러한 공권적 성격 및 재산권(사권)으로서의 성격을 아울러 가진다고 할 것.
II. 권리의 성질
(2) 출원 후에는 출원 발명으로서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다만, 출원서에 최초로 첨부한 명세서 등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는 보정에 의하여 변동할 수 있다.
1. 발명자 게재권
2. 공유인 경우
특허법, 특허, 발명, 발명자, 권리
I. 의 의
VIII. 소 멸
V. 효 력
설명
IV. 객 체
[목차]
IX. 기 타
(1)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란 국가에 대하여 특허권 부여를 청구할 수 있는 재산권의 일종.
5. 동일자 출원
(2) 법은 발명을 보호-장려하기 위하여 특허권 부여하고 있지만 특허 전의 이익상태도 보호할 필요가 있다.
I. 의 의
2인 이상이 공동으로 발명한 때에는 이 권리는 공유로 된다.
(1) 출원 전에는 사실행위로서 완성된 발명.
다. 따라서 법인발명은 인정되지 아니한다.
![[특허법]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발명의 효과)-2788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10/%5B%ED%8A%B9%ED%97%88%EB%B2%95%5D%20%ED%8A%B9%ED%97%88%EB%A5%BC%20%EB%B0%9B%EC%9D%84%20%EC%88%98%20%EC%9E%88%EB%8A%94%20%EA%B6%8C%EB%A6%AC(%EB%B0%9C%EB%AA%85%EC%9D%98%20%ED%9A%A8%EA%B3%BC)-2788_01.gif)
![[특허법]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발명의 효과)-2788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10/%5B%ED%8A%B9%ED%97%88%EB%B2%95%5D%20%ED%8A%B9%ED%97%88%EB%A5%BC%20%EB%B0%9B%EC%9D%84%20%EC%88%98%20%EC%9E%88%EB%8A%94%20%EA%B6%8C%EB%A6%AC(%EB%B0%9C%EB%AA%85%EC%9D%98%20%ED%9A%A8%EA%B3%BC)-2788_02_.gif)
![[특허법]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발명의 효과)-2788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10/%5B%ED%8A%B9%ED%97%88%EB%B2%95%5D%20%ED%8A%B9%ED%97%88%EB%A5%BC%20%EB%B0%9B%EC%9D%84%20%EC%88%98%20%EC%9E%88%EB%8A%94%20%EA%B6%8C%EB%A6%AC(%EB%B0%9C%EB%AA%85%EC%9D%98%20%ED%9A%A8%EA%B3%BC)-2788_03_.gif)


4. 출원후 승계
III. 발생과 귀속주체
순서
Download : [특허법]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발명의 효과).hwp( 15 )
특허법상 주요 주제인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 다시 말해 `발명의 결과 `에 대한 핵심을 요약 / 정리(整理) 한 글입니다. 그러나 승계인은 자연인 또는 법인 모두 가능하다.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는 법이 발명의 완성과 동시에 발생하여 특허등록 전까지 인정되는 발명의 실체적인 보호규정이다. 모두 권리능력을 가지는 자이기 때문이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 강제집행의 허부
2. 불확定義(정의) 권리
(2) 기술적 사상의 창작인 발명을 완성한 행위는 사실행위이기 때문에 자연인인 발명자가 이 권리를 원시적으로 취득. 발명자주의에 따른 것이다.
1. 원 칙
VII. 비담보성
[본문일부]
1. 질권설定義(정의) 금지
특허법상 주요 주제인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 다시 말해 `발명의 효과`에 대한 핵심을 요약 / 정리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