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손상] 자세조절[postural control]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3 10:39
본문
Download : [뇌손상] 자세조절[postural.hwp
다.레포트 > 의학계열
인간은 좁은 지지면에 높은 무게중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불안정성 평형(unstable equilibrium) 상태에 있어서 신체를 기립하는데 지속적으로 중력이 작용한다(Smith 등, 1996). 인간은 약간의 앞, 뒤, 좌우로 움직이는 자세동요(postural sway)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무게중심을 교정하여야만 한다. 균형은 균형을 흩트리는 힘에 대한 반작용(reactive response)일 뿐만 아니라, 이전의 경험과 특정Task 를 수행하려는 의도(intention)에 기초하여 예측적(proactive)이고 適應(적응)적(adaptive)으로 작용한다(Horak 등, 1997).
1) 무게중심과 지지면
설명
3. 균형유지에 포함되는 시스템
인간은 불안정하게 하는 중력을 극복하고 공간 속에서 무게중심을 능동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지지면 위에 수직으로 무게중심을 유지해야만 한다(Jacobson 등, 1993).
![[뇌손상] 자세조절[postural-1318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B%87%8C%EC%86%90%EC%83%81%5D%20%EC%9E%90%EC%84%B8%EC%A1%B0%EC%A0%88%5Bpostural-1318_01.jpg)
![[뇌손상] 자세조절[postural-1318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B%87%8C%EC%86%90%EC%83%81%5D%20%EC%9E%90%EC%84%B8%EC%A1%B0%EC%A0%88%5Bpostural-1318_02_.jpg)
![[뇌손상] 자세조절[postural-1318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B%87%8C%EC%86%90%EC%83%81%5D%20%EC%9E%90%EC%84%B8%EC%A1%B0%EC%A0%88%5Bpostural-1318_03_.jpg)
![[뇌손상] 자세조절[postural-1318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B%87%8C%EC%86%90%EC%83%81%5D%20%EC%9E%90%EC%84%B8%EC%A1%B0%EC%A0%88%5Bpostural-1318_04_.jpg)
![[뇌손상] 자세조절[postural-1318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B%87%8C%EC%86%90%EC%83%81%5D%20%EC%9E%90%EC%84%B8%EC%A1%B0%EC%A0%88%5Bpostural-1318_05_.jpg)
뇌손상,자세조절,postural control
자세조절을 이해하는 열쇠는 기본적인 생체역학적 개념(槪念)을 이해하는 데 있따 이러한 개념(槪念)은 신체의 무게중심과 지지면, 그리고 이들 사이에서 동요(sway)가 미치는 影響(영향)을 포함한다. 자세 동요를 측정하는 것은 개인의 균형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자세정렬의 조절(control of postural alignment)을 균형(balance) 혹은 평형(equilibrium) 이라고 한다(Cech와 Martin, 1995). 신체는 균형을 흩트리는 내력과 외력에 대항하여 감각입력, 운동반응 및 인지과定義(정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지지면(base of support) 위에 신체의 무게중심(center of gravity)을 유지하려고 한다. 자세정렬의 조절(control of postural alignment)을 균형(balance) 혹은 평형(equilibrium) 이라고 한다(Cech와 Martin, 1995). 신체는 균형을 흩트리는 내력과 외력에 대항하여 감각입력, 운동반응 및 인지과정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지지면(base of support) 위에 신체의 무게중심(center of gravity)을 유지하려고 한다.
시각, 체감각 및 전정감각의 입력을 통하여 무게중심의 이동(displacement)을 감지한다. 하나의 감각계만으로 신체의 무게중심, 신체분절의 위치 및 체중지지면(supporting surface)의 특성을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세 가지 감각계가 모두 필요하다(Fabio와 Emasith, 1997). 그러나, 하나의 감각계가 장애가 있을 때 균형 유지는 다른 두 가지 감각계의 보상(compensation)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Cech와 Martin, 1995). 이들 감각계는 균형을 이루기 위해 무게중심의 이동에 반응적으로 그리고 동요의 발생 가능한 상황에서 예측적으로 함께 작용한다(Shumway-Cook과 Woollacott, 1995)
[뇌손상] 자세조절[postural control]에 대하여
순서
2) 동요
Download : [뇌손상] 자세조절[postural.hwp( 79 )
자세(posture)는 주위의 환경에 대한 신체분절의 정렬을 의미한다. 이러한 감각 회로망은 주위environment과 신체와의 관계에서 신체분절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균형은 균형을 흩트리는 힘에 대한 반작용(reactive response)일 뿐만 아니라, 이전의 경험과 특정과제를 수행하려는 의도(intention)에 기초하여 예측적(proactive)이고 적응적(adaptive)으로 작용한다(Horak 등, 1997).
자세(posture)는 주위의 environment(환경) 에 대한 신체분절의 정렬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