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통상관계의 진단과 정책적 대응방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1 14:12
본문
Download : 한.hwp
즉, 예전과는 달리 安保차원에서의 결속과는 별도로 경제적 차원에서의 갈등이 양국간 주요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김재익,“미국 통상정책의 실태과 展望”, 산은조사월보 (1994. 4)
순서
한미통상관계 무역마찰 미국통상정책 정책적대응방안 / 경제기획원 대외경제조정실, 대외경제여건의 변화와 정책대응 (1987. 2)
한미통상관계 무역마찰 미국통상정책 정책적대응방안 / 경제기획원 대외경제조정실, 대외경제여건의 변화와 정책대응 (1987. 2) 구본호,“한·미무역의 정책과제 - 한국의 시각,” 한승주 편, 전환기의 한미관계, (서울: 서울국제포럼, 1988). 김규태·이영주, 미국의 대외시장개방 압력수단 운용현황 분석, (서울: 산업연구원, 1991) 김남두, 미국의 무역장벽,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2). 김동현·최연홍, “한미 통상 및 무역마찰에 관한 고찰: 양국 신문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현대사회, (1989, 가을·겨울호). 김완순,“통상외교 전략,” 세종연구소, 제1회 세연학술포럼 한국의 국가전략 모색, (1994. 8.23-24) 김재익,“미국 통상정책의 현황과 전망”, 산은조사월보 (1994. 4) 김정수,“국제화·세계화 시대의 한국행정의 진로, 한국행정연구 4권 3호(1995) (행정)
김남두, 미국의 무역장벽,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2).
설명
2. 韓·美관계의 변천
I. 서론





한·미 통상관계의 진단과 정책적 대응방안
I. 서론
광복 이후 미국은 한국의 안보동맹국으로 가장 든든한 우방국가였을 뿐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많은 원조와 함께 거대한 수출시장을 제공함으로써 한국의 급속한 발전에 중대한 발판이 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김동현·최연홍, “한미 통상 및 무역마찰에 관한 고찰: 양국 신문의 내용分析(분석)을 중심으로”, 현대사회, (1989, 가을·겨울호).
김정수,“국제화·세계화 시대의 한국행definition 진로, 한국행정연구 4권 3호(1995)
4. 韓·美 무역마찰의 해부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韓·美 양국간의 通商關係를 조망해보고 중장기적 차원에서 바람직한 발전방향 및 정책방법을 모색해보는 데에 있다 과거와는 달리 최근들어 한국과 미국간에는 경제적인 차원에서의 갈등과 마찰이 매우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韓·美간의 통상관계가 과거에는 어떠한 패턴으로 이루어져 왔고 최근에는 어떻게 alteration(변화) 하였으며 그 動因은 무엇인지에 대해 분석하는 한편 앞으로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방법은 무엇인가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
Download : 한.hwp( 37 )
(행정)
한미통상관계 무역마찰 미국통상정책 정책적대응방안
6. 정책적 대응방법의 모색
김규태·이영주, 미국의 대외시장개방 압력수단 운용실태 分析(분석), (서울: 산업연구원, 1991)
구본호,“한·미무역의 정책課題 - 한국의 시각,” 한승주 편, 전환기의 한미관계, (서울: 서울국제포럼, 1988).
5. 미국 통상정책의 alteration(변화) 와 향후 전망
3. 韓·美교역의 alteration(변화) 추세
김완순,“통상외교 책략,” 세종연구소, 제1회 세연학술포럼 한국의 국가책략 모색, (1994. 8.23-24)
다. 그러나 80년대 이후 미국의 무역적자가 사상 유례가 없을 정도로 급증함과 아울러 소련의 와해로 인해 冷戰체제가 붕괴함에 따라 韓·美간의 관계에 있어서도 커다란 alteration(변화) 가 초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