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포트] 판소리에 대한 이해와 전통악기 / 차 례 Ⅰ. 판소리란 무엇인가 1. 판소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0 09:48
본문
Download : 판소리에 대한 이해와 전통악기.hwp
권삼득·황해천·송홍록·방만춘·염계달·모홍갑·김계철·고소관...
다. 판소리란 판놀음으로 연행되는 소리라는 뜻이다. 그렇듯이 판놀음으로 벌이는 소리를 판소리라 하는 것이니 판소리란 이름이 본디부터 있었던 이름이라 하겠다.레포트 판소리에 대한 이해와 전통악기 / 차 례 Ⅰ. 판소리란 무엇인가 1. 판소리
[레포트] 판소리에 대한 이해와 전통악기 / 차 례 Ⅰ. 판소리란 무엇인가 1. 판소리
Download : 판소리에 대한 이해와 전통악기.hwp( 96 )
레포트 > 기타
차 례 Ⅰ. 판소리란 무엇인가 1. 판소리란 말의 뜻 2. 판소리의 역...
순서





설명
차 례 Ⅰ. 판소리란 무엇인가 1. 판소리란 말의 뜻 2. 판소리의 역...
차 례 Ⅰ. 판소리란 무엇인가 1. 판소리란 말의 뜻 2. 판소리의 歷史(역사) 3. 판소리의 유파(제(制)) 4. 판소리의 조 5. 판소리의 발성법과 성음 음악 6. 판소리의 장단 7. 판소리의 종류 8. 판소리의 명창과 고수 1) 순조 때 8명창(전기의 8명창) 2) 철종 때 8명창(후대의 8명창) 3) 근세 때 5명창 4) 최근의 명창들 5) 명고수 Ⅱ. 우리음악에 사용되는 악기 (우리 나라의 전통악기) 1. 율명이란 2. 계이름 3. 장단(長短) 4. 국악기 Ⅰ. 판소리란 무엇인가 . 판소리란 말의 뜻 창우(倡優 판소리를 전문으로 하는 가수)가 부르는 서사적인 노래를 한문으로는 잡가(雜歌)·본사가·창가·극가 등으로 치고 있으나 본디 우리 말로는 판소리라 일러 왔다. . 판소리의 歷史(역사) 판소리의 형성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대체로 17세기경 남도 지방엣 서민 청중들을 대상으로 서서히 부상했을 것으로 짐작되며, 적어도 18세기말까지는 판소리가 제 모습을 완전하게 갖추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시대에 활동했을 것으로 추측되는 소리꾼은 하한담·최선달·우춘대 등이다. 판놀음은 넓은 마당을 놀이판으로 삼고 ‘판을 벌린다’하여 놀이의 구색을 갖추고, ‘판을 짠다’하여 놀이 순서를 제대로 짜서 처음부터 끝가지 제대로 연행하는 놀음을 가리키는 바 판놀음으로 타는 줄타기는 판줄이라 하고, 판놀음으로 치는 농악은 판굿이라 한다. 19세기에 판소리는 양반 청중들을 대상으로 전성기를 맞았는데, 19세기 전반기를 ‘전기 8명창시대’라 하고,19세기 후반기를 ‘후기 8명창시대’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