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말의 문법 / 옛말의 문법 1. 훈민정음의 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17 05:30
본문
Download : 옛말의 문법.hwp
끝으로 주시경이 붙인 이름으로는 한글이 있었다.
목적- 자주, 애민, 실현의 정신 구현을 위함, 우리 나라의 한자음의 요약와 표기상의 통일을 기하기 위함.
제자원리- 자음(발음기관 상형설+가획의 원리)과학적임, 모음(天, 地, 人의 三才를 본뜸)철학적임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옛말의 문법 / 옛말의 문법 1. 훈민정음의 창
1. 훈민정음의 창제 목적과 배경, 제자원리
3. 훈민정음의 짜임
자음 23자, 모음 11자의 음가(音價)를 說明(설명) 한 자모의 음가, 종성법, 연서법, 병서법, 부서법의 규정을 밝힌 자모의 운용, 음절 이루는 법과 음의 고저를 표시하는 방법을 說明(설명) 한 성음법과 사...
설명
배경- 사상적 배경(역학, 성리학), 학문적 배경(중국의 음운학)
2. 훈민정음의 판본
옛말의 문법 1. 훈민정음의 창제 목적과 배경, 제자원리 목적- 자...
훈민정음의 한문 판본은 1940년 전형필 씨가 안동에서 발견한 전씨본이 있다아 이것은 유일하게 ‘해례’를 수록하고 있어 제자의 원리를 밝힐 수 있었다. ‘예의’, ‘해례’, ‘정인지 서’가 한문으로 되어있다아 또한, 실록본이 있다아
순서
옛말의 문법 1. 훈민정음의 창제 목적과 배경, 제자원리 목적- 자...
옛말의 문법 / 옛말의 문법 1. 훈민정음의 창
훈민정음의 짜임은 첫째, 예의(例義)를 들 수 있다아 예의의 구성은 머리말, 창제의 취지 및 자주, 애민, 실용정신을 밝힌 어지(御旨),
훈민정음의 언해본으로는 희방사본 일명 월인석보본이 있는데 ‘예의’ 부분만을 우리말로 옮겨 놓은 것으로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다아 그외 박씨본, 서강본, 카네자와본 등이 있다아
◈ 훈민정음 창제의 국어사적 의의-국어의 역사(歷史)가 분명해 졌다. 이는 하나의 글, 위대한 글의 뜻으로 불리웠다.
옛말의 문법
◈ 훈민정음 명칭의 변천
Download : 옛말의 문법.hwp( 73 )
다. 일명 ‘해례본’이라한다. 약칭은 정음(正音)이었다. 그리고 최세진에 의해 훈몽자회(訓蒙字會)에서 (諺文字母俗所謂反切二七字) 비롯된 이름으로는 반절(半切)이 있었고, 갑오경장 이후 국어 존엄성을 자각한 뒤 생긴 이름이 국문(國文)이었다.





훈민정음(訓民正音)이란 창제 당시 세종이 붙인 명칭으로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이다. 그후 훈민정음을 낮추어 부른 이름이 언문(諺文)이었는데 이는 중국의 한문을 진서(眞書)라고 하는데 따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