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영상文化(문화)] 영화와 관련된 용어들 - 공포영화의 용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31 21:27
본문
Download : [독일영상문화] 영화와 관련된 용어들.hwp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독일영상문화] 영화와 관련된 용어들-9376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4/%5B%EB%8F%85%EC%9D%BC%EC%98%81%EC%83%81%EB%AC%B8%ED%99%94%5D%20%EC%98%81%ED%99%94%EC%99%80%20%EA%B4%80%EB%A0%A8%EB%90%9C%20%EC%9A%A9%EC%96%B4%EB%93%A4-9376_01.jpg)
![[독일영상문화] 영화와 관련된 용어들-9376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4/%5B%EB%8F%85%EC%9D%BC%EC%98%81%EC%83%81%EB%AC%B8%ED%99%94%5D%20%EC%98%81%ED%99%94%EC%99%80%20%EA%B4%80%EB%A0%A8%EB%90%9C%20%EC%9A%A9%EC%96%B4%EB%93%A4-9376_02_.jpg)
![[독일영상문화] 영화와 관련된 용어들-9376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4/%5B%EB%8F%85%EC%9D%BC%EC%98%81%EC%83%81%EB%AC%B8%ED%99%94%5D%20%EC%98%81%ED%99%94%EC%99%80%20%EA%B4%80%EB%A0%A8%EB%90%9C%20%EC%9A%A9%EC%96%B4%EB%93%A4-9376_03_.jpg)
![[독일영상문화] 영화와 관련된 용어들-9376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4/%5B%EB%8F%85%EC%9D%BC%EC%98%81%EC%83%81%EB%AC%B8%ED%99%94%5D%20%EC%98%81%ED%99%94%EC%99%80%20%EA%B4%80%EB%A0%A8%EB%90%9C%20%EC%9A%A9%EC%96%B4%EB%93%A4-9376_04_.jpg)

독일영상문화,영화와 관련된 용어들,공포영화의 용어
호러라는 단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공포에 떪, 전율 등의 의미가 있다 사실 우리에게 그동안 더 익숙해 있는 공포영화와 호러영화는 의미상 그다지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며, 일반적으로 호러영화와 스릴러를 구분하는 경향이 있으나 영어권 국가들에서도 딱히 둘을 구분짓고 있지는 않다.), 그 중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는 영화들(ex)몬스터 재난영화 등)도 수없이 많다. 피터 잭슨의 <데드 얼라이브>가 가장 좋은 예이다. 난도질을 넘어 사지절단, 토막살인 등 가히 피로 범벅이 된 듯한 영화를 흔히 고어 무비라 부른다. 호러영화를 지칭하는 용어들 중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자.
고어란 엉긴 피, 즉 선지피를 의미한다. 호러영화를 지칭하는 용어들 중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자.
호러(horror)라는 단어는 라틴어 horrere에서 기원되었는데 털이 곤두서다라는 뜻이다.
※ 호러 영화의 역사 호러영화의 역사는 사실상 영화의 역사와 거의 궤적을 같이 한다. 호러라는 단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공포에 떪, 전율 등의 의미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초창기 공상적 영화들은 소재나 표현 방식에서 아직 호러영화라고는 말할 수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호러영화의 시발은 1919년에 나온 독일영화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로 본다.
Download : [독일영상문화] 영화와 관련된 용어들.hwp( 68 )
순서
※ 위의 용어들은 호러 영화 중에서 비슷한 경향을 가진 영화들을 부르는 말에 지나지 않는다.[독일영상文化(문화)] 영화와 관련된 용어들 - 공포영화의 용어
★ 고어 무비(Gore Movie)
설명
-잡지 키노에서 쓴 하드고어(Hard-Gore)란 단어는 거의 키노에서 만들어 냈다고 보인다. 위의 용어 說明(설명) 은 다만 자주 쓰이는 용어에 대한 이해 정도로 보았으면 한다. 한 영화에서도 위의 용어들이 중복되는 예가 많고(ex)나이트 메어는 슬래쉬와 오컬트가 중복된다. 하드코어와 대비시키기 위한 키노식 조어인 듯하다.
다. 사실 우리에게 그동안 더 익숙해 있는 공포영화와 호러영화는 의미상 그다지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며, 일반적으로 호러영화와 스릴러를 구분하는 경향이 있으나 영어권 국가들에서도 딱히 둘을 구분짓고 있지는 않다.
호러(horror)라는 단어는 라틴어 horrere에서 유래되었는데 털이 곤두서다라는 뜻이다. 초창기 멜리에스의 달세계 여행 등에서도 호러영화의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