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중전기기 생산·수출 전반적 호조 展望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2 04:26
본문
Download : 20040126-.jpg
반면 미국은 10.1% 하락해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
Download : 20040126-.jpg( 93 )





올 중전기기 생산·수출 전반적 호조 전망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kr>
지난해 수출은 IT 고부가 제품개발과 신시장 개척 등 적극적인 해외마케팅으로 12.5%라는 비교적 높은 신장세를 보였다. 품목별 수출실적을 살펴보면 광케이블, 발전기, 변압기는 감소한 반면 원자로·전기로, 배전제어장치는 각각 85.7%, 21.9%의 높은 수출신장률을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중국(中國)이 38.7%로 가장 높은 증가세를 나타냈다. 또 채산성 부진요인으로는 △업체간 과당경쟁(31.9%) △저가제품의 수입증가(20.8%) △생산요소 비용의 증가(12.5%) 등을 지적했다.
올 중전기기 생산·수출 전반적 호조 전망
한편 국내 중전기기업체들은 올해 기업경영 애로요인으로 원가상승(34.9%), 매출부진(20.9%), 운영자금 부족(12.6%) 등을 꼽았다.
설명
따라서 올해도 이같은 추세를 이어 전년 대비 5000여억원 가량 증가, 국내외 상황에 따라서는 10조원대 돌파도 가능할 것이라는게 진흥회측 分析이다.
순서
지난해 상반기 극심한 내수침체와 한전 등 관수물량 발주 감소, 원·부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크게 위축됐던 생산은 하반기 이후 미국을 위시한 세계 경기회복, 대중국(中國) 수출증대로 인해 다소 증가세를 보였다.
다.
한국전기산업진흥회(회장 김준철 http://www.koema.or.kr)는 최근 170개 국내 중전기기업체를 상대로 ‘2004년 중전기기산업 경기전망’을 조사한 결과, 생산은 전년대비 6.1% 증가한 9조9150억원, 수출은 7.1% 성장한 26억9800만달러에 달할 것으로 집계됐다고 25일 밝혔다.
올 중전기기 생산·수출 전반적 호조 展望
올 중전기기 생산·수출 전반적 호조 展望
이같은 호조세와 함께 올해도 중국(中國)의 서부시장개척 및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개최, Japan내 전력요금 자율화에 따른 대일 마케팅 강화 등에 힘입어 중전기기 수출은 전년대비 7.1% 증가한 26억9800만달러를 달성할 것이라는 分析이다.레포트 > 기타
올해 국내 중전기기 생산과 수출은 IT융합 고부가 신제품 개발과 내수회복, 중국(中國)시장 성장 등에 힘입어 전반적인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