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교육] 7차 교육과定義(정이) 問題點 체육을 주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03 10:42
본문
Download : 7차교육과정에대한나의생각.hwp
7차 교육과定義(정의) 가장 큰 특징은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교 1학년까지 10년간은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으로 정해 10개 과목을 가르치되, 학생별로 `수준별`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고교 2·3학년은 `선택중심 교육과정`으로 정해 학생들이 학업수준과 적성에 맞게 배울 과목을 선택해 심화학습하게 하는 것이다. 부족한 기자재 교사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 교육인적자원부는 이를 위해 지난해 말까지 15조원을 투입하였지만 감사원이 전국의 2078개 학교를 표본 조사한 결과 이동수업 실시율은 19.3%에 그치고 또 7차 과정에서 정해놓은 이동수업 실시 후 특별보충과정 운영 및 평가까지 하는 학교는 7.9%에 불과하였다. 구체적인 7차 교육과定義(정의) 목표(目標)는 시행하는 취지나 목적은 좋다고 생각한다.
설명





순서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을 목표(目標)로 하고 있다. 학습의 效果(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교과용 도서 중심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교육방송, 시청각 기자재, 각종 학습 등을 적극 활용할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체제와 구조 정비로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과 선택중심 교육과정이라는 이원화와 함께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 운영, 재량활동 신설과 특별활동 강화, 평가를 통한 교육과정 질 관리 체제 확립을 추구하고 있다. 최근 신문기사를 참고해 보면 7차 교육과정은 학습능력에 따른 학급 간 이동수업을 실시하고, 교육수요에 따라 학교 간 순회교사나 외부강사 제도 등을 도입하여야 한다. 또 학생들의 수요를 파악해 순회교사나 시간강사를 활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일반고교 중 70%이상이 제대로 시행하고 있지 않았다. 하지만 학교의 여건을 많이 고려하지 않고 시행하여서 문제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4년 정도 시행하였지만 아직도 결점이 해결되지 않는 것 같다.
[체육교육] 7차 교육과定義(정이) 問題點 체육을 주심으로
7차교육과정의문제점, 체육의 선택과목, 체육교사, 중고생 비만,
Download : 7차교육과정에대한나의생각.hwp( 90 )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