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 사회학』 - E.Durkheim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02 04:26
본문
Download : 『교육과 사회학』 - EDurkheim.hwp
그런데 교육은 위의 조건을 만족시키며 학문의 탐구대상이 될 수 있따 교육과학은 사회의 유형에 따른 교육의 일반적 유형을 확립하고 그 유형의 特性(특성)을 밝히며 교육체제의 진화과정에 관한 제법칙과 그 교육제도로 나타난 결과를 주요문제로 다룬다. 교육학의 목적은 현재나 …(省略)
Download : 『교육과 사회학』 - EDurkheim.hwp( 88 )
순서
,사범교육,레포트
『교육과사회학』 , 『교육과 사회학』 - E.Durkheim사범교육레포트 ,
설명




레포트/사범교육
『교육과 사회학』 - E.Durkheim
다. 『교육과사회학』
교육의 목적이 아동의 사회화라고 할 때 이를 어떤 방법으로 어느 정도까지 달성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자. 인간의 선천성의 본질은 대단히 일반적이고 개연적이라서 매우 여러 가지 형태로 현실화되어서 구체적 特性(특성)들로 나타날 가능성일 뿐이므로 교육이 아동에게 影響을 미칠 수 있는 영역은 매우 광범위하다. 여기에 교육의 효율를 높이려면 교육은 꾸준하게 계속되어야 하며 외부사건이나 우발적인 environment(환경) 때문에 방향이 분산되지 않도록 하고 교사는 진지함, 의무감, 도덕적 권위를 가져야 한다.
일련의 연구를 ‘과학’으로 부르기 위해서는 연구대상이 현실의 전체계 속에 존재해야 하고 연구대상 상호간에 동질성이 확보되어 동일범주로 분류될 수 있어야 하며 그 연구목적이 이해관계에 얽히지 않는 앎 자체여야 한다.
그러나 교육학은 교육과학과 아주 다른 종류의 사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