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工學(공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6-02 03:13
본문
Download : 재활공학_5022764.hwp
재활공학 , 재활공학공학기술레포트 ,
Download : 재활공학_5022764.hwp( 68 )






,공학기술,레포트
재활工學(공학)
순서
7. 재활보조기구
1) 지체장애우용 재활보조기구
(1) 의지와 보조기
의지(prostheses)는 사지의 신체적 결손을 보상하는 대치물로서 손 ·발의 일부 결손에 대하여, 외형상 또는 기능상으로 적합하도록 인공적으로 만든 것이다. 접수는 의지의 관절 부분을 말하고, 수선부…(省略)
재활工學(공학) 의 배경과 당위성, 관련용어, 보조기구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관절이 결손된 것에도 관절과 동일한 형태와 작용을 가지는 것이 있다아 사용하는 목적과 부위에 따라 몇 가지로 나누어지지만 일반적으로 보통 의수(義手)라고 하는 상지의지(上肢義肢)와, 의족(義足)이라고 하는 하지의지로 나누어진다. 또 일상용으로 사용하는 상용 의수 ·의족과 작업용 의수 ·의족으로 나누어진다. 의수에는 다시 섬세한 운동을 하는 데 적합하도록 만들어진 능동의수라고 하는 것도 있다아 의수는 장착대(裝着帶) ·단단초(斷端齧:소켓) ·통주부(筒柱部) ·접수(接手) ·수선부(手先部)로 되어있다아 장착대는 의지를 신체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어깨에 맞도록 가죽을 대고 이것에서 밴드로 체간(體幹)에 고정한다.
레포트/공학기술
재활工學(공학)
설명
재활공학의 배경과 필요성, 관련용어, 보조기구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단단초는 의지의 끝을 덮어 씌우는 부분이고, 통주부는 형태를 갖추기 위하여 통으로 되어 있는 부분인데, 상지에서는 상완(上腕)과 전완(前腕)의 부분을 말한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