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 홀로코스트의 전개와 의미 및 비판.hwp
홀로코스트의 전개와 의미 및 비판
홀로코스트의 전개와 의미 및 비판
설명
레포트/기타
홀로코스트,전개와,의미,비판,기타,레포트
Download : 홀로코스트의 전개와 의미 및 비판.hwp( 64 )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 이 영화는 진실의 재현에 중심을 두는 것이 아니라, 그야말로 허구적 이야기를 유희적으로 표현함으로써 가장 심각한 순간에서조차 극도의 단순화를 사용하여 영화를 마무리 한다. reference(자료)화면도 음향도 없는
순서
다.
2) 쇼아(Shoah, 1985)
프랑스/ 다큐멘터리/ 545분/ 클로드 란츠만
클로드 란츠만이 11년간(1974~1985) 인터뷰를 통해 학살 관련 당사자들의 직접적 증언을 모아 영화화한 작품이다.
홀로코스트의 전개와 의미 및 비판 , 홀로코스트의 전개와 의미 및 비판기타레포트 , 홀로코스트 전개와 의미 비판
홀로코스트
<홀로코스트의 전개>
< 우리는 왜 홀로코스트에 주목하는가? >
< 우리에게 홀로코스트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
< 홀로코스트 비판: 홀로코스트 산업을 중심으로 >
홀로코스트
<홀로코스트의 전개>
1. 조찬 회동(1942년 1월 20일 반제회의)
-유대인 민족 학살을 안건으로 상정한 회의
-의도된 살인에 대해 알게 됨, 상관의 초대에 의무적으로 응해 이루어진 수많은 업무중 하나
2. 독일 유대인과 나치즘(자기 이미지와 위협)
-유대인에 대한 음모론, 1923년 인플레이션의 原因
-독일 유대인 제국 대표부 결성, 유대인 이해와 생존을 위한 이주 장려
→독일의 유대인 제국 대표부, 끝내 강제이송, 유대인 대표 인사를 나치 행정 업무 지원에
3. 독일에서 유대인의 배제와 差別
-아리안 법 시행, 점차 생활 영역과 직업에 있어…(투비컨티뉴드
)
4. 유대인의 국외이주
5. 아리안화와 다윗 별
6. 동유럽 점령지의 게토들
7. 반유대주의에서 민족 학살로
8. 동유럽에서의 학살 - 특수부대와 살인특공대에 의해 자행된 집단 학살, 가스차들의 이용
9. 독일로부터 유대인의 강제 이송
10. 테레지엔슈타트
-독일의 유대인 제국 연맹, 자치 관리로 이용당함
11. 또 다른 민족 살해
-신티와 로마들에 대한 박해 : 정주 요구, 노동 紹介(소개) 불가, 보호 유치, 강제 불임 요구
12. 절멸 수용소의 산업화된 대학살
< 우리는 왜 홀로코스트에 주목하는가? >
1. 근대 서구 문명의 관료적이며 기술적인 특징이 가지고 있는 속성의 산물
- 한 강력한 국가가 체계적이고 치밀한 정책 아래에서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써서 유대인을 몰살시키고자 했다는 점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다
- 고도로 조직된 관료 시스템이 살해 업무에 대한 책임성을 의도적으로 분산
- 가스실과 소각로는 작업량에 맞추어 인간을 제거하는 일종의 산업화된 살인도구
→ 홀로코스트가 내포한 비인간적 폭력의 ‘근대적 성격’을 나타낸다
2. 근대 민족국가가 수행한 근대판 성전(聖戰)
- 천년왕국설의 요체인 악의 궁극적인 정복이란 槪念을 인종적 관점에서 표출
- 유대인들은 ‘선민’인 동시에 기독교적 진리의 타락한 ‘증인’, 낙인찍힌 사람들
- 아리안족 운명에 대한 종말론적 비전과 future(미래)를 제시하여 경쟁자인 유대인의 메시아주의를 제거하려 했다
→ 서구 문명의 지배적인 종교적 전통과 결합된 종말론적 이데올로기
3. 전 유럽에 깃들어 있던 뿌리 깊은 반유대주의
< 우리에게 홀로코스트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
1. 근대성에 내재된 기술적 합리성(technical rationality)
- 어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근대 기술적 수단을 합리적으로 동원하고 그 과定義(정의) 잔혹성에 상대하여는 관심을 가지지 않는 것
2. 인권에 대한 국제적인 무관심이 낳는 결과
- 유태인이 나치 정권 초기에 이민을 시도했을 때, 유럽의 어떤 나라도 유대인들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다
- 1942년 이후 홀로코스트의 실상을 알리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서방국들은 이를 외면
< 영화를 통해 본 유대인 학살에 대한 미학적 형식화의 시도 >
1) 人生은 아름다워(Life Is Beautiful, La Vita E Bella, 1997)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한 기억이 아직도 강하게 남아 있는 유럽에서는 쇼아를 주제로 다루는 영화가 발표될 때마다 현실의 재현과 윤리적 문제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따 <人生은 아름다워> 역시 유럽에서 개봉된 직후 쇼아의 미학화에 대한 찬반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이후 일반 개봉관에서 <人生은 아름다워>를 상영하고 그 예술성을 인정받아 1999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남우주연상, 음악상 등을 수상한 사실은, 생존자들에 따른 쇼아의 미학화에 대한 일방적인 거부가 쇼아의 예술적 형상화 가능성에 대한 인정으로 변하고 있음을 드러낸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