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story.kr 국제 중재계약의 의의 및 국제 중재계약조항의 검토 > tistory8 | tistory.kr report

국제 중재계약의 의의 및 국제 중재계약조항의 검토 > tistory8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istory8

국제 중재계약의 의의 및 국제 중재계약조항의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5-07-06 15:01

본문




Download : 국제 중재계약의 의의 및 국제 중재계약조항의 검토.hwp




다만 이러한 중재조항에도 불구하고 당사자는 법정지 법원에 가압류나 가처분과 같은 임시적 보호조치는 취할 수 있다

6. 중재계약 기본조항의 실무적 검토

(1) 중재합의
중재계약은 중재의 기초가 되는 만큼 계약내용에는 중재지, 중재재판부의 구성, 중재절차에 관련된 주요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실제 중재합의는 중재를 하기로 한 서면의 합의로서 족하고 중재장소나 중재기관 및 준거법까지 명시할 것을 요건으로 하지 않는다(대법원 1990.4.10. 89다카20252). 그러나 중재계약에서 `당사자간에 발생하는 일체의 분쟁은 중재에 의하여 해결한다`라고만 규정하고 구체적인 중재지나 중재절차를 정하지 않은 경우 어디에서 어떠한 절차에 따라 중재를 행할 것인지…(drop)

Download : 국제 중재계약의 의의 및 국제 중재계약조항의 검토.hwp( 33 )



국제 중재계약의 의의, 방식, 성립요건, 범위, 효력 등에 상대하여 요약하였습니다.

국제 중재계약의 의의 및 국제 중재계약조항의 검토








국제%20중재계약의%20의의%20및%20국제%20중재계약조항의%20검토_hwp_01.gif 국제%20중재계약의%20의의%20및%20국제%20중재계약조항의%20검토_hwp_02.gif 국제%20중재계약의%20의의%20및%20국제%20중재계약조항의%20검토_hwp_03.gif 국제%20중재계약의%20의의%20및%20국제%20중재계약조항의%20검토_hwp_04.gif


다. 이를 위반하여 소를 제기한 경우 상대방은 법원에 관할권이 없다는 항변을 하여야 한다.


,법학행정,레포트
레포트/법학행정

국제중재계약의의의및국제중재계약조항의검토
순서
국제 중재계약의 의의, 방식, 성립요건, 범위, 효력 등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국제중재계약의의의및국제중재계약조항의검토 , 국제 중재계약의 의의 및 국제 중재계약조항의 검토법학행정레포트 ,
설명




중재계약이 유효한 경우 당사자는 분쟁을 반드시 중재에 의해서 해결하여야 하며 법원에 소를 제기할 수 없는데 소를 제기할 수 있는데, 이를 직소금지라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항변은 소송절차의 처음에 제기하여야 하며, 이를 제기하지 않고 소송에 응하였을 경우에는 중재의 항변을 포기한 것으로 본다.
전체 17,778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wantone.tistory.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