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동 [만다라] 작품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29 14:55
본문
Download : 김성동 [만다라] 작품론.hwp
죽음이라는 미증유의 세계를 향해 그토록 부지런히 움직여 간 추의 발자취에는 과연 어떤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인가.
인간에게는 죽음이 있기에 삶의 의미는 더욱 절실하고 또한 불가해하다. 물질과 정신, 인과 과, 색과 공의 세계가 만나 화합하는 지점에서 만다라는 완성된다 따라서 만다라는…(skip)
설명
순서
서평감상/서평
,서평,서평감상
Download : 김성동 [만다라] 작품론.hwp( 90 )
김성동[만다라]작품론
![김성동%20[만다라]%20작품론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EA%B9%80%EC%84%B1%EB%8F%99%20%5B%EB%A7%8C%EB%8B%A4%EB%9D%BC%5D%20%EC%9E%91%ED%92%88%EB%A1%A0_hwp_01.gif)
![김성동%20[만다라]%20작품론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EA%B9%80%EC%84%B1%EB%8F%99%20%5B%EB%A7%8C%EB%8B%A4%EB%9D%BC%5D%20%EC%9E%91%ED%92%88%EB%A1%A0_hwp_02.gif)
![김성동%20[만다라]%20작품론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EA%B9%80%EC%84%B1%EB%8F%99%20%5B%EB%A7%8C%EB%8B%A4%EB%9D%BC%5D%20%EC%9E%91%ED%92%88%EB%A1%A0_hwp_03.gif)
![김성동%20[만다라]%20작품론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EA%B9%80%EC%84%B1%EB%8F%99%20%5B%EB%A7%8C%EB%8B%A4%EB%9D%BC%5D%20%EC%9E%91%ED%92%88%EB%A1%A0_hwp_04.gif)
김성동 [만다라] 작품론
다. 무로부터 물려받은 뼈와 살의 현실적인 무게와 그 위에 얹히는 영혼의 유정한 무게는 다시 무로 되돌아가야 한다. 무와 무 사이에 잠시 존재하는 `나`라는 `유`의 정체는 무엇인가. 도대체 `나`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
불교는 무에서 유로, 죽음에서 삶으로 윤회하는 `나`라는 존재찾기이다.
김성동[만다라]작품론 , 김성동 [만다라] 작품론서평서평감상 ,
인간에게는 살과 뼈라는 물질적인 욕망의 덩어리와 그 욕망에 따라 괴로워하거나 즐거워하며 끊임없이 흔들리는 령혼의 무거운 추가 매달려 있다 끝없이 흔들리는 영혼의 추가 멈추는 곳, 거기에서 인간의 삶은 끝나고 육신과 령혼의 갈등도 죽음이라는 저편 세계로 사라져간다. 무가 바로 유이며, 죽음과 삶이 하나임을 깨닫는 색즉시공의 경지에서, 인간은 해탈에 이르며 성불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만다라는 불화의 한 형태로 이러한 깨달음의 경지를 도해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