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에니 전쟁의 과정과 그 effect(영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10 18:24
본문
Download : 포에니 전쟁의 과정과 그 영향.hwp
3. 한니발
그는 카르타고의 장군이었던 하밀카르 바르카스의 아들로서 제1차 포에니전쟁에 패전한 후 아버지를 따라 카르타고에서 에스파냐로 갔으며, 아버지와 매형 하스드루발의 뒤를 이어 BC 221년 26세의 젊은 나이로 에스파냐 주둔군의 총지휘관이 되었다. 그는 육로로 이탈리아 진공계획을 세우고 피레네산맥을 넘어 남프랑스를 석권하고, 다시 눈덮인 알프스를 넘어서 이탈리아로 침입, BC 217년 트라시메누스 호반의 전투를 비롯하여 각지에서 로마군을 격파하였다.서구문예사레포트 , 포에니 전쟁의 과정과 그 영향인문사회레포트 ,
포에니 전쟁의 과정과 그 effect(영향) 에 대한 글입니다. 시리아의 안티오코스 3세와 함께 로마군과 싸웠으나…(생략(省略))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포에니 전쟁의 과정과 그 영향.hwp( 51 )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포에니 전쟁의 과정과 그 영향에 대한 글입니다. 어려서부터 로마에 대한 복수심에 불탔으며, BC 219년 로마군 점령하의 에스파냐 도시 사군툼을 함락시키고, 이듬해 에브로강을 건너자, 로마로부터 선전포고를 받아 제2차 포에니전쟁의 처음 을 열었다. 특히 BC 216년 칸나이 전투에서는 교묘한 용병술을 발휘하여 로마군을 철저하게 격파하였지만 로마의 장군 스키피오에게 자마전투에서 대패하게 된다
그 후 카르타고의 집정관이 되어 로마에 대한 보복기회를 노렸으나, 정적에 의해 시리아
와의 통모를 획책하고 있다는 통고가 로마로 보내졌기 때문에, BC 196년 그는 시리아로 피신하였다.






서구문예사report
순서
포에니 전쟁의 과정과 그 effect(영향)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