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과 수행평가 이론(理論)과 실제에 대한 토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30 06:38
본문
Download : 영어과 수행평가 이론과 실제에 대한 토론.hwp
이런 점은 본 토론자도 교육과정을 살펴보면서 절실히 느낀 바입니다. 또한 한국교총 설문조사에서 ‘평가 기준이 모호해 평가 도구 준비가 어려움’에 21.4%의 교사가 동감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화여…(To be continued )
발표자께서는 영어교육 평가의 기준은 교육과정의 목표와 지도 내용에 제시되어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과제 중심의 학습을 제... , 영어과 수행평가 이론과 실제에 대한 토론경영경제레포트 ,
다.
,경영경제,레포트
설명
순서
레포트/경영경제
Download : 영어과 수행평가 이론과 실제에 대한 토론.hwp( 23 )




발표자께서는 영어교육 평가의 기준은 교육과정의(定義) goal(목표) 와 지도 내용에 제시되어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과제(problem) 중심의 학습을 제...
영어과 수행평가 이론(理論)과 실제에 대한 토론
발표자께서는 영어교육 평가의 기준은 교육과정이 目標(목표)와 지도 내용에 제시되어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과제課題 중심의 학습을 제시하면서도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기준의 결여, 실제 언어 과제課題와 학습과제課題의 혼용에 의한 불분명, 성취 기준의 진술이 명시적이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막연하게 진술된 점 등을 문제로 지적하였습니다. 따라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개발한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에서의 기준도 막연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영어과 수행평가 기준으로 ACTFL, ILR, ASLPR의 서술 방법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언어사용 능력은 사용 목적에 따라 언어학적 정확성, 사용한 언어의 적절성, 언어사용의 유창성, 목적하는 기능의 성공 정도 등의 요소를 종합하여 판단하며, 평가 기준은 교육과정이 지도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