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통사구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06 07:59
본문
Download : 국어의통사구조_2071981.hwp


국어의통사구조
Download : 국어의통사구조_2071981.hwp( 65 )
국어의통사구조-시리즈8
설명
국어의통사구조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즉 구개음화가 접어적 성격을 규명하는 한 근거가 된다면 주격조사 또한 접어가 되며, 고로 ‘-이’를 조사로 보는 조사설과 접어설은 서로 대립되는 견해가 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아
2. 용언설 대 조사설: 긍정적 근거의 비교
조사설에 대해 진정으로 대립되는 설은 용언설이다. 이는 서술격조사설은 새로운…(skip)
(2) 자립형식인 명사구 뒤에 형태적으로 의존하는 것(조사)과 항상 의존 형식인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 에 형태적으로 의존하는 것(어미)이 구별되기 때문일것이다
다. ‘-이’의 성격 규정과 관련하여 용언설과 조사설의 입장은 어떤 것인지 용언설의 입장부터 살펴보자. 용언설이란 ‘-이’를 용언으로 보자는 것이다.
,인문사회,레포트
국어의통사구조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국어의통사구조-시리즈8 , 국어의통사구조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2000:334)가 접어설을 위한 근거로 제시한 (1)을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