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헤르바르트의 교육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23 07:43
본문
Download : [교육학] 헤르바르트의 교육사상.hwp
2) 연상적 방법
① 통각理論에 입각해 볼 때 가르치고자 하는 새로운 관념은 기존의 관념과의 관계에서 이해될 때 흥미가 유발되어 학습이 가능해진다.
② ‘치사’란 의식 속에 있는 많은 표상들을 결합하고 통합하는 작용이다. 학습해야 할 주제가 명료하게 제시되어야 학생들은 대상에 몰입하게 된다
2) 연합 : 새로운 주제를 학생이 이전에 배운 것들과 관련지어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
2) 그는 윤리학에서 교육의 목적을 구하고, 심리학에서 교육방법의 원리를 구하고자 하였다.
4) 방법 : 새로 얻은 지식과 주제를 활용하여 새로운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연습의 과정이며, 새로운 내용을 제대로 배웠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과정이다.
3) 계통 : 새로이 배운 내용을 기존의 지식체계 내에서 적당히 자리를 잡도록 하는 단계이다.
② 그래서 새로운 표상이 학습의 대상으로 제시되면 그 표상은 이미 가지고 있는 표상의 덩어리(표상괴)와의 관계에서 파악된다
③ 기존의 표상들과 새로운 표상이 조화를 이룰 때는 쾌감이 생기고, 갈등을 이룰 때는 불쾌감이 생긴다.
2) 교육의 직접적 목적 - ‘오도념’의 교육
① 헤르바르트는 덕은 내적인 자유를 의미하며, 내적인 자유의 core은 의지라고 보았다.
② 의지란 생각의 결과이기 때문에 덕의 중심인 의지를 교육하기 위해서는 생각(관념)을 교육해야한다고 보았다.
4. 교육적 교수와 비교육적 교수
1) 비교육적 교수 : 흥미의 유발없이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5. 교수의 4단계
1) 명료 : 가르치고자 하는 주제를 명료하게 제시하는 단계이다.
2. 교육의 목적
1) 교육의 궁극적 목적 - 도덕적 품성의 도야 : 그에 의하면 덕성은 인간이 갖추어야 할 최고의 가치이다.
2) 이는 ①예비→②제시(명료)→③비교(연합)→④개괄(계통)→⑤응용(방법)으로 전개된다
[교육학] 헤르바르트의 교육사상
Download : [교육학] 헤르바르트의 교육사상.hwp( 98 )
[교육학] 헤르바르트의 교육사상 , [교육학] 헤르바르트의 교육사상사범교육레포트 , 교육학 헤르바르트 교육사상
순서
다. 이 단계에서는 새로이 배운 내용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구분하고, 기존의 지식과 관념체계에서 일관되게 그를 조직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