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日本 지역의 조선인아나키즘운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18 23:33
본문
Download : 1920년대 일본지역의 조선인아나키즘운동.hwp
1926년 2월 10일, 흑우회는 임시총회를 개최하고 동지의 규합과 주의 선전에 관해 협의한 후 기관지를 발행하기로 했다.
순서
Download : 1920년대 일본지역의 조선인아나키즘운동.hwp( 18 )






레포트/인문사회
박열사건 이후 일본지역의 조선인 아나키즘운동세력은 변천을 거듭했다. 이 때 주요 구성원은 원심창, 이홍근, 장상중, 최규동, 육홍균, 정태성, 최규종, 한현상, 이원세, 박망, 차고동, 김건, 이윤희, 박…(To be continued )
설명
박열사건 이후 日本 지역의 조선인 아나키즘운동세력은 변천을 거듭했다. 1924년과 이듬해는 흑우회가 박열사건의 공판지원에 주력한 시기였다. 이는 이 사건 이후 조선인아나키스트에 대한 당국의 탄압이 강해진데다가 조선인... , 1920년대 일본지역의 조선인아나키즘운동인문사회레포트 ,
1920년대 日本 지역의 조선인아나키즘운동
,인문사회,레포트
박열사건 이후 日本(일본)지역의 조선인 아나키즘운동세력은 변천을 거듭했다. 이는 이 사건 이후 조선인아나키스트에 대한 당국의 탄압이 강해진데다가 조선인...
다. 그러나 1926년에 들어와 다시 최규종, 장상중, 정태성 등이 日本(일본)인 흑색청년연맹에 가입한 후 이를 계기로 흑우회를 부흥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해졌다. 그외 변호사선임, 공판 참석, 박열 면회 등 공판지원이 활동상의 전부라고 할 정도였다. 장상중, 정태성, 정연규, 한예상 등이 물품 차입과 공판을 방청하기 위한 박정식(박열의 형)의 여비마련을 위해 조선인단체에서 기부금을 모금했다. 이는 이 사건 이후 조선인아나키스트에 대한 당국의 탄압이 강해진데다가 조선인아나키스트들도 자신들의 운동방향을 모색하고 타개책을 마련하기 위한 과정을 겪어야 했기 때문이다
박열사건 이후 석방된 불령사 회원들이 대부분 복귀했으나 흑우회 활동은 활발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