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신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11 23:18
본문
Download : 한국의 신화_2021463.hwp
이에 반해 민담은 이야기 자체로 완결되며 증거물은 제시되지 않는다. 전설은 구체적으로 제한된 시간과 장소를 갖고, 민담은 구체적 시간이나 장소가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신화는 비현실적 사실을 우리들이 인정하고 있는 범위-기괴하지 않은-내에서 신성성을 가진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아
2. 신화가 전설, 민담과 다른 점
신화는 구비문학의 여러 장르 중 설화에 포함된다 설화는 보통 신화, 전설, 민담으로 구분되는데 이들 사이의 차이점을 명확히 해 둘 필요가 있다아ㄱ) 전승자의 태도에서 - 신화의 전승자는 신화가 신성하다고 생각하고 있다아 현실적 경험에 비추어 보아 그것이 꾸며낸 이야기라고 하더라도 일상적 합리성을 넘어 존재한다고 믿어질 때, 신화는 신화로서의 생명력을 가진다.
ㄹ) 주인공 및 그 행위에서 - 신화의 주인공은 신, 혹은 신의 자손들이며 그 행위는 신이 지닌 신성한 능력의 발휘이다. 민담은 흥미위주이기 때문에 사실성이나 진실성이 문제가 되지는 않기 때문일것이다
ㄴ) 시간과 장소에서 - 신화는 주로 아득한 옛날이나 태초에 일어난 특별한 신성장소를 무대로 일어난 이야기이다.
설명
한국의 신화에 대해 작가를 예로 들어 요약, 비평한 비평문.
순서
한국의 신화에 대해 작가를 예로 들어 요약, 비평한 비평문.한국신화12 , 한국의 신화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1. 신화의 정이
신화는 ‘신성시되는 이야기’라고 볼 수 있다아 모든 신화는 신성시되고, 신성시되지 않는 이야기는 신화가 아니다. 전설의 주인공은 한정될 수 없는 여러 종류의 인간이고, 그 행위가 인간 - 인간, 또는 인간 - 사물간의 예기치 않던 관계가 대부분이다.ㅁ) 전승의 범위에서 - 신화는 주로 민족적 범위에서 전승된다 신화는 민족적 범위에서 진실성과 신성성이 인정되고 있으며, 그것이 종교와 결합될 때는 민족의 범위를 넘어 종교가 전파되는 지역으로 확산되기도 한다.
신…(To be continued )Download : 한국의 신화_2021463.hwp( 31 )
,인문사회,레포트






한국의 신화
한국신화12
다. 전설은 전승자가 신성하다고까지 생각지는 않으나, 진실 되다고 믿고, 실제로 있었다고 주장하는 이야기다. 전설은 증거물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지역적인 범위를 가지고 민담은 그 범위가 어느 지역이나 민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