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작기계 (선반가공, 밀링가공, 드릴가공, 리머가공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24 01:39
본문
Download : 공작기계 (선반가공, 밀링가공, 드릴가공, 리머가공 ).hwp
(xxxxxx) 척핸들은 반드시 척에서 뽑아 낸다.
(5) 기본 셋팅이 끝난 후 바이트의 날 끝이 공작물의 측면에 닿도록 한다.
(10) 자를 곳에 바이트를 위치시킨 후 선반을 작동시키고 천천히 자른다.
(6) “0”점을 기준으로 깎을 깊이만큼 회전중심 방향으로 바이트의 날 끝을 고정한다.
(실제 작업을 할 때는 회전속도를 고정시켜 사용하였다.
(2) 봉재를 척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설명
공작기계 실습으로 선반가공,밀링가공,드릴가공,리머 가공 등 공작기계에 대한 그림과 함께 정리했습니다선반가공 , 공작기계 (선반가공, 밀링가공, 드릴가공, 리머가공 )기타레포트 ,
공작기계 (선반가공, 밀링가공, 드릴가공, 리머가공 )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순서
xxxxxx-1. 실습방법 및 순서
(1) 선반의 구조를 파악하고 작동순서와 안전수칙을 숙지한다.
(선반의 정지는 선반 중앙 하단에 있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된다 )
(9)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하여 정확한 치수를 측정(測定) 한 후 절단 작업을 한다.
선반가공
Download : 공작기계 (선반가공, 밀링가공, 드릴가공, 리머가공 ).hwp( 80 )
레포트/기타
,기타,레포트
공작기계 실습으로 선반가공,밀링가공,드릴가공,리머 가공 등 공작기계에 대한 그림과 함께 정리(整理) 했습니다
다.
(7) 기계의 전원이 ON되었는지, 회전속도가 올바로 선택했는지 확인 한 후 자동이송 장치로 원하는 길이(60mm)를 깎는다.
(이때 자동이송을 수동이송으로 바꿔준다.
(4) 바이트의 날 끝이 공작물의 회전중심과 일치하도록 조정한다. 그 상태를 “0”으로 한다.)
(11) 작업이 끝난 후 뒷처리를 깨끗이 하며 반드시 선반의 전원을 확인하도록 한다.)
(8) 먼저 소재에서 바이트를 떼어 낸 후 선반을 정지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