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 실험 - 광합성 색소분리 및 측정(measuremen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01 22:42
본문
Download : 생물학 실험 - 광합성 색소분리 및.hwp
빛에너지가 엽록소에 흡수되면 엽록소가 흥분하여 전자를 방출하는데, 이 전자가 전자전달계를 거치면서 ATP를 만들어낸다. 광인산화과정은 엽록소가 흡수한 빛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전환시켜 ATP를 만들어내는 과정이다. 일반적으로는 녹색식물에 의한 에너지 변환 과정을 의미한다.
생물학 실험 - 광합성 색소분리 및 측정(measurement)
실험제목 : 광합성 색소분리 및 측정(measurement)
엽록체⁴ : 녹색식물 잎의 세포에 들어있는 세포소기관으로, 광합성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전자현미경으로 보면 세포 속의 엽록체는 지름이 약 5~10㎛이고 두께는 2~3㎛인 원형이나 타원형의 구조이며, 세포막이 외막과 내막의 이중막 구조로 되어 있다아 내막 안쪽에는 틸라코이드가 층을 이루면서 쌓여 있는 그라나가 있으며 그 사이의 공간에는 여러 가지 광합성에 필요한 효소들이 들어있는 스트로마라는 기질이 있다아 틸라코이드는 한 겹으로 된 막의 납작한 주머니인데, 이 주머니들이 차곡차곡 포개져서 책갈피처럼 층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 그라나이고, 이런 구조를 라멜라 구조라고 한다.
틸라코이드의 막에는 엽록소와 전자전달계가 있어 명reaction(반응)이 일어난다. 암reaction(반응)에는 무수히 많은 효소가 관여하고 있기 때문에 온도의 effect(영향) 을 받는다.
6CO2+12H2O→C6H12O6+6H2O+6O2
- 암reaction(반응)³
생물학 실험,광합성 색소분리,색소분리
6CO₂ + 12NADPH₂ -> 12NADP + 6H2O + C₆H₁₂O₆
종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시금치 잎에서 광합성 색소를 분리하고 색소의 빛 흡수를 알아본다.
- 명reaction(반응)²
* 광합성의 명reaction(반응)에서 O₂가 생성되고, 암reaction(반응)을 통해 포도당이 합성되고 물이 생성되는 것이다.
Download : 생물학 실험 - 광합성 색소분리 및.hwp( 83 )
분광광도기(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색소의 최대흡수 파장을 알아본다.
* 구조
순서
엽록체의 스트로마에서 일어나는 암reaction(반응)은 명reaction(반응)에서 생성된 ATP와 NADPH₂를 이용해 이산화탄소(CO₂)로부터 포도당과 같은 탄수화물을 합성하는 과정이다. 명reaction(반응)은 다시 물의 광분해와 광인산화reaction(반응)의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아 물의 광분해과정은 엽록소에 흡수된 빛에너지에 의해 물(H₂O)이 분해되는 것으로, 전자(e-)와 수소이온(H+), 그리고 산소(O₂)를 만들어낸다. 분광광도기(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색소의 최대흡수 파장을 알아본다.
- 광합성¹ : 녹색식물이나 그 밖의 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해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는 작용이다.
설명
1. 실험목적





실험제목 : 광합성 색소분리 및 측정 1. 실험목적 종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시금치 잎에서 광합성 색소를 분리하고 색소의 빛 흡수를 알아본다. 또 광인산화 과정에서 NADPH₂도 함께 만들어지는 데 이들은 암reaction(반응)에 쓰인다.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