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심보감 원문 및 번역, 해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17 09:02
본문
Download : 명심보감 원문 및 번역, 해설.hwp
○其는 주격 또는 소유격 대명사로 쓰인다.
繼善篇終
天命篇
천명편은 전편(前…(省略)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명심보감의 원문과 번역서입니다.아래의 명심보감은 초심자들이 한문의 문법을 이해하고 한자(漢字) 하나 하나의 쓰임새에 익숙해지도록 세심한 설명(explanation)을 제 나름대로는 덧붙여 놓았다고 생각합니다
명심보감 원문 및 번역, 해설
다. 여기서는 其가 春園之草를 받는 대명사이고 주격 또는 소유격으로 해석해 준다. ○矣(의)는 평서문의 종결형 어조사. 주로 단정, 결과, 확정 등의 뜻을 내포하고 확신을 가지고 말할 때 쓰이는 종결형 어조사이다. ○垂는 (위에서 아래로) 드리울 수. ○雖는 비록 수. 주어는 雖앞에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也도 똑같은 종결형 어조사이지만, 也에는 矣에서와 같은 단정, 결과, 확신의 뜻이 약하고 단순히 평서문의 종결을 나타낼 뿐이다.
설명
(字義) ○東岳聖帝는 도가(道家)의 사람이다. 선을 보기를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것 같이 하고, 불선(不善) 보기를 끓는 물에 손을 넣는 것 같이 하라.
○見善如不及에서 之를 붙여 見善如不及之라 하지 않은 것은 이미 언급했듯이 “不+술어+之”와 같은 구문은 대체로 어세(語勢)가 좋지 못하므로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쓰이지 않는 것이다. “날마다”의 뜻. ○有+A= A가 있다 ○磨는 갈 마. ○損은 덜 손 ○虧는 이지러질 휴.
子曰, 見善如不及, 見不善如探湯。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日은 부사로 쓰였다.아래의 명심보감은 초심자들이 한문의 문법을 이해하고 한자(漢字) 하나 하나의 쓰임새에 익숙해지도록 세심한 설명을 제 나름대로는 덧붙여 놓았다고 생각합니다 , 명심보감 원문 및 번역, 해설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명심보감 원문 및 번역, 해설.hwp( 45 )
,인문사회,레포트






명심보감의 원문과 번역서입니다. 위에서는 주격으로 해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