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민가] 한국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분류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01 07:15
본문
Download : [한국의 전통민가] 한국전통민가의 평.hwp
3. 평면을 중심으로 구분한 민가형 분류
5.2. 지역성
2. 지역을 중심으로 구분한 민가형 분류
2.1. 이와스키의 분류
[한국의 전통민가] 한국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분류에 관하여
3.1. 주남철 교수에 의한 분류
한국의 전통민가,한국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분류
전통민가를 연구함에 있어. 우선 그 뜻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아
민가의 민(民)은 <백성>을 일컫고, 가(家)는 <집>을 말한다. 따라서 민가란 곧 <백성의 집>을 말하며 이는 궁궐(宮闕), 관아(官衙), 사찰(寺刹) 등의 공적인 건축공간과는 다른 사적인 건축공간으로서 위로는 공경대부로부터 아래로는 천민에 이르기까지 <모든 백성들의 집>을 뜻하였던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민가를 잘 分析(분석)해 보면 우리 조상들이 한반도의 풍토를 어떻게 이해하였는가를 알 수 있으며 또한 우리 조상들이 장기간의 시행착오를 통해서 이 풍토에 잘 適應해서 살 수 있는 형태와 구조의 민가를 우리에게 물려주었음을 알 수 있다아
2.3. 이영택의 분류
다. 문헌에 <민가(民家)>라는 말은 고대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어 온 것으로서, 이 말이 최초로 문헌상에 나타나는 것은 『三國史記』「百濟本記」5 법왕 때의 기록으로 추정되고 있다아
4.2. 중앙부엌형
5. 소 결
1. 전통민가의 뜻 2. 지역을 중심으로 구분한 민가형 분류 2.1. 이와스키의 분류 2.2. 노무라의 분류 2.3. 이영택의 분류 2.4. 장보웅의 구분류 3. 평면을 중심으로 구분한 민가형 분류 3.1. 주남철 교수에 의한 분류 3.2. 장보웅 교수에 의한 분류 3.3. 김홍식 교수에 의한 분류 4. 남부지방 전통주거의 평면유형 4.1. 일반형 4.2. 중앙부엌형 4.3. 남동해안형 5. 소 결 5.1. 시대성 5.2. 지역성 5.3. 계층성
2.4. 장보웅의 구분류
5.1. 시대성
순서
4. 남부지방 전통주거의 평면유형
1. 전통민가의 뜻
5.3. 계층성
2.2. 노무라의 분류
Download : [한국의 전통민가] 한국전통민가의 평.hwp( 38 )
4.3. 남동해안형
설명
4.1. 일반형
한국의 민가(전통 살림집)는 우리 조상들이 한반도에 오랫동안 거주하면서 우리에게 물려준 전통이 담겨진 민중의 주택을 의미한다.
3.3. 김홍식 교수에 의한 분류
3.2. 장보웅 교수에 의한 분류
![[한국의 전통민가] 한국전통민가의 평-9512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D%95%9C%EA%B5%AD%EC%9D%98%20%EC%A0%84%ED%86%B5%EB%AF%BC%EA%B0%80%5D%20%ED%95%9C%EA%B5%AD%EC%A0%84%ED%86%B5%EB%AF%BC%EA%B0%80%EC%9D%98%20%ED%8F%89-9512_01.jpg)
![[한국의 전통민가] 한국전통민가의 평-9512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D%95%9C%EA%B5%AD%EC%9D%98%20%EC%A0%84%ED%86%B5%EB%AF%BC%EA%B0%80%5D%20%ED%95%9C%EA%B5%AD%EC%A0%84%ED%86%B5%EB%AF%BC%EA%B0%80%EC%9D%98%20%ED%8F%89-9512_02_.jpg)
![[한국의 전통민가] 한국전통민가의 평-9512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D%95%9C%EA%B5%AD%EC%9D%98%20%EC%A0%84%ED%86%B5%EB%AF%BC%EA%B0%80%5D%20%ED%95%9C%EA%B5%AD%EC%A0%84%ED%86%B5%EB%AF%BC%EA%B0%80%EC%9D%98%20%ED%8F%89-9512_03_.jpg)
![[한국의 전통민가] 한국전통민가의 평-9512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D%95%9C%EA%B5%AD%EC%9D%98%20%EC%A0%84%ED%86%B5%EB%AF%BC%EA%B0%80%5D%20%ED%95%9C%EA%B5%AD%EC%A0%84%ED%86%B5%EB%AF%BC%EA%B0%80%EC%9D%98%20%ED%8F%89-9512_04_.jpg)
![[한국의 전통민가] 한국전통민가의 평-9512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D%95%9C%EA%B5%AD%EC%9D%98%20%EC%A0%84%ED%86%B5%EB%AF%BC%EA%B0%80%5D%20%ED%95%9C%EA%B5%AD%EC%A0%84%ED%86%B5%EB%AF%BC%EA%B0%80%EC%9D%98%20%ED%8F%89-9512_05_.jpg)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민가는 어느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만들어진 경우보다는 민중문화의 확산 결과에 의해서 만들어진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민가를 통해서 그 확산 경로와 분포도를 파악할 수 있다아 우리나라는 좁은 국토에 비해서 민가가 지역적으로 비교적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음은 한국의 반도적 property(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아 민가는 민중의 건축 문화이며, 귀중한 문화유산의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