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장 쟁의행위 및 조정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14 18:57
본문
Download : 제6장 쟁의행위 및 조정제도.pptx
①쟁의행위는 그 쟁의행위와 관계없는 자 또는 근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자의 출입조업 기타 정상적인 업무를 방해하는 방법으로 행하여져서는 아니되며 쟁의행위의 참가를 호소하거나 설득하는 행위로서 폭행협박을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된다.
②사용자는 쟁의행위기간중 그 쟁의행위로 중단된 업무를 도급 또는 하도급 줄 수 없다.
③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은 필수공익사업의 사용자가 쟁의행위 기간 중에 한하여 당해 사업과 관계없는 자를 채용 또는 대체하거나 그 업무를 도급 또는 하도급 주는 경우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②조합원은 노동조합에 의하여 주도되지 아니한 쟁의행위를 하여서는 아니된다된다.
①쟁의행위는 폭력이나 파괴행위 또는 생산 기타 주요업무에 관련되는 시설과 이에 준하는 시설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을 점거하는 형태로 이를 행할 수 없다.
②작업시설의 손상이나 원료제품의 변질 또는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작업은 쟁의행위 기간중에도 정상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①사용자는 노동조합이 쟁의행위를 개시한 이후에만 직장폐쇄를 할 수 있다아
②사용자는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직장폐쇄를 할 경우에는 미리 행정관청 및 노동위원회에 각각 신고하여야 한다.
①사용자는 쟁의행위에 참가하여 근로를 제공하지 아니한 근로자에 대하여는 그 기간중의 임금을 지급할 의무가 없다.
순서
제6장 쟁의행위 및 조정제도
제6장 쟁의행위 및 조정제도 , 제6장 쟁의행위 및 조정제도경영경제레포트 , 제장 쟁의행위 조정제도
제장,쟁의행위,조정제도,경영경제,레포트
Download : 제6장 쟁의행위 및 조정제도.pptx( 84 )
_SLIDE_1_
제6장
쟁의행위 및 조정제도
_SLIDE_2_
INDEX
쟁의행위 및 조정제도
쟁의행위
쟁의행위의 의의
쟁의행위의 요건
쟁의행위의 수단
우리나라의 노동쟁의 조정제도
조定義(정이) 의의
노동쟁의 조정제도
사례(instance)
서울도시철도공사 파업(2004)
_SLIDE_3_
쟁의행위
爭議行爲
_SLIDE_4_
쟁의행위
= 노동조합의 경제적 기능의 전시적 형태
1. 쟁의행위의 의의
0102
03
04
노사분규
노동쟁의, 쟁의 행위 및 단체활동
_SLIDE_5_
01
02
03
04
노동쟁의 : 노동조합과 사용자 또는 사용자단체 간에 임금, 근로시간, 복지, 해고 등 근로조건의 결정에 관한 주장의 불일치로 인하여 발생한 분쟁상태.
쟁의행위 : 파업, 태업, 직장폐쇄 기타 노동관계 당사자가 그 주장을 관철할 목적으로 행하는 이에 대항하는 행위로서 업무의 정상적 운영을 저해하는 행위.
1. 쟁의행위의 의의
단체행동 : 집단적 행위. 노동자 측…(drop)
①쟁의행위는 그 목적방법 및 절차에 있어서 법령 기타 사회질서에 위반되어서는 아니된다된다.
①사용자는 쟁의행위 기간중 그 쟁의행위로 중단된 업무의 수행을 위하여 당해 사업과 관계없는 자를 채용 또는 대체할 수 없다.
3. 쟁의행위의 수단
레포트/경영경제
제6장 쟁의행위 및 조정제도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