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공동주택 커뮤니티 시설 계획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09 06:29
본문
Download :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 계획.hwp
순서
- 혼합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건축] 공동주택 커뮤니티 시설 계획
3)인구구성
4)커뮤니티 활동
- 집회시설
본문내용
5. 커뮤니티 시설계획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계획 , 공유영억 , 집회영억 , 근린생활시설
Download :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 계획.hwp( 72 )
2. 事例(사례)





1) 이용권역
- 주거지의 간선도로에 배치되는 경우
1) 주거지내 전체 배치에 따른 분류와 特性
1) 아시아 선수촌 1983-86
- 교육시설
2) 인구밀도
공유영역
[공유영역] 거주지에 있어서 근린 소집단 레벨의 2차 영역(가족을 1차집단이라 부를 때 2차 집단 즉 사회적 집단이라는 말에 대응하여)에서 그 집단의 다수에 의하여 공동으로 인식되는 일정한 장소, 공간.
2) 주거지 집입부에 배치되는 경우
2) 상계동 초고층 아파트 1985-86
설명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공동주택의community시설 계획에 대한 레포트(report)
[영역] 어떤 개인이 일상적 관여를 통하여 자기들의 것이라는 의식을 가지게 되어 거기에서의 행위나 일어나는 일을 지배하는 일정한 장소, 공간.
4. 커뮤니티 생활의 권역과 시설
1) 시설의 이용자와 규모와의 관계
6. 소 견
『주택은 작은 도시와 같고, 도시는 하나의 거대한 주택과 같다. 골목에서는 어린이부터 노인에까지 생생한 모습으로 서로 공존하며 장소에 대한 애착으로 살아가고 있는 모습을 발견할 수가 있따 왜 시원하게 뻗어있는 도로에 견주어 좁고 구부러진 골목을 사이에 두고 사람들이 공통의 의식을 가지며 거기서 살아가고 있을까?
3. 도시 주거지내 근린생활시설의 배치特性과 개선방향
5)생활 環境(환경)과 시설의 기준
공동주택의community시설 계획에 대한 레포트
3) 해운대 빌리지 1991-1993
1. 공동주택에서 공유영역
다. 서울의 가희동이나 계동처럼 오랫동안 형성된 동네에 가보면 우선 꾸불꾸불한 골목이 인상적이다.』는 알도 반 아이크의 주장대로 주택은 도시 구성의 인자이다. 자동차의 기준에 맞추어진 것이 아니라 사람의 생활에 근거하기 때문에 그 곳에서는 삶의 흔적이 강하게 배어 나온다. 각 인자들이 결합되어 동네가 되고 동네와 동네가 결합하여 도시로 확장되어 나아간다. 근대화 이후 산업의 수단으로 확장고니 도로, 즉 신작로의 직선과는 그 모습부터가 크게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