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비열계약 / 비열계약 Ⅰ. 서 1. 부당노동행위 제도의 의의 부당노동행위 제도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22 01:27
본문
Download : 비열계약, 비열계약Ⅰ. 서 1.hwp
2. 비열계약의 의의 부당노동행위의 한 유형으로서 비열계약이란 근로자가 노조에의 불가입·탈퇴 또는 특정노조에의 가입을 고용조건으로 하는 근로계약을 말한다. Ⅱ. 비열계약의 내용 1. 비열계약의 유형 법문상 비열계약으로 되는 사용자의 행위는 근로자가 노조에의 불가입·탈퇴 또는 특정노조에의 가입을 고용조건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부당노동행위제도는 사용자의 근로3권 침해 행위를 배제하는데 있으므로 조합활동을 금지하는 고용조건도 비열계약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3. 한계 현행법에서 사용자는 근로자가 당해 노조에서 제명된 경우, 유니온 숍조항을 근거로 그에게 신분상의 불이익처분을 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아 Ⅳ. 비열계약의 효력과 구...





설명
비열계약 Ⅰ. 서 1.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의의 부당노동행위제도는 사용자가...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비열계약 Ⅰ. 서 1.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의의 부당노동행위제도는 사용자가...
인문사회 비열계약 / 비열계약 Ⅰ. 서 1. 부당노동행위 제도의 의의 부당노동행위 제도는
순서
[인문사회] 비열계약 / 비열계약 Ⅰ. 서 1. 부당노동행위 제도의 의의 부당노동행위 제도는
Download : 비열계약, 비열계약Ⅰ. 서 1.hwp( 78 )
다. 이러한 비열계약은 종업원이 되기 전에 단결활동을 봉쇄하려는 것이다. 현행법은 당해 사업장 근로자의 3분의 2이상으로 조직된 노조가 단체협약으로 동규정을 체결할 수 있다아 2. 효력 1) 부당노동행위의 불성립 유니온 숍이 체결되더라도, 비열계약으로서의 부당노동행위로 보지 않는다. 2. 비열계약의 체결시기 비열계약은 반드시 근로계약체결시에 약정될 필요는 없으며, 고용된 이후에 고용의 계속조건으로 약정한 것도 비열계약에 포함된다 Ⅲ. 비열계약과 유니온 샵협정 1. 유니온 샵 협정의(定義) 의의 유니온 숍협정이란 근로자의 고용시에 특정노조에 가입할 것을 고용조건으로 약정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해고하지 않더라도 부당노동행위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2) 사용자의 해고의무 사용자는 유니온 숍협정 이후 노조에 미가입·탈퇴한 근로자를 해고할 의무가 있으며, 이는 부당해고가 아니다.
비열계약 Ⅰ. 서 1.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의의 부당노동행위제도는 사용자가 근로자의 근로3권을 침해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이에 대한 구제제도를 둠으로써 국가적인 차원에서 근로3권을 보장하려는 제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