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합작영화의 투자 및 흥행에 대한 앞으로의 동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12:54
본문
Download : 이가.hwp
쉬리를 제외한 한국영화의 흥행이 좋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한국영화의 편수, 편 당 가격, 수출액 등을 통해서 볼 때 확실히 수출실적은 크게 증가하고 있따 98년에는 나쁜 영화모텔 선인장 등 16편이 일본에 수출돼 28만 3천 달러를 벌어들였으나, 99년에는 쉬리, 접속 등 8편이 수출돼 167만5천 달러의 수출고를 올렸다.
한일합작영화의투자 한일합작영화 한일합작영화앞으로의동향 日本 영화 한국영화 / ()
4.현재 제작되고 있는 한일합작 영화의 투자실태(實態)
한일합작영화의투자 한일합작영화 한일합작영화앞으로의동향 일본영화 한국영화 / ()
한일합작영화의투자 한일합작영화 한일합작영화앞으로의동향 일본영화 한국영화
5. 제작사에서 생각하는 한일 합작 영화에 대한 생각
[본론]
6. 양국의 영화 시장에 대한 파악
[conclusion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 한국 영화의 일본 진출
2. 한일 합작 영화가 만들어지는 사회적 배경
순서
[서론]
3. 지금까지 만들어진 한일 합작 영화의 투자 실태(實態)와 흥행정도
설명
Download : 이가.hwp( 46 )
한일합작영화의 투자 및 흥행에 대한 앞으로의 동향
다. 또, 우리 나라의 많은 영화들이 현재 일본에서 판매되고 있따 한국에서 흥행에 성공한 영화, 작품성을 인정받은 영화들은 물론이고 한국 사람들조차도 생소하게 생각할 만한 여러 영화들이 현재 일본에서 판매되고 있따 비디오와 DVD로 판매되고 있는 한국영화를 살펴보면 60년대의 [박서방][노다지]등을 스타트으로 2000년대의 [쉬리] [JSA] [거짓말] [동감]등등 약 200여 개의 한국 영화가 일본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문화개방과 월드컵 등과 같은 사회적 분위기로 한국 영화의 비디오는 물론 DVD의 제작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쉬리가 한국영화 130만 달러에 수출된 이후 섬이 10만 달러, 단적비연수가 70만 달러, 텔미썸딩이 50만 달러, 비천무가 50만 달러에 수출되는 등 2000년에만 250만 달러 이상으로 증가했다. 쉬리의 뒤를 이어 텔미섬씽, 공동경비구역JSA, 친구등의 한국영화가 일본의 극장에서 상영되었으며, 이에 힘입어 한일간의 영화교류가 한층 활발해 졌다.





1. 한일 합작 영화 定義(정이)
2000년 쉬리의 성공 이후 일본 내에서 한국영화에 대한 인지도가 크게 향상되면서 한국영화가 꾸준히 수출되고 있따 일본 35개 극장에서 개봉된 쉬리는 한 달도 안 되어서 전국 127개 극장으로 확대되어 100만 명이 넘는 관객을 동원했다. 공동경비구역 JSA은 대일 수출 사상 최고가인 200만 불에 판매되었으며, 2001년의 대일 수출액은 550만9천 달러에 이르렀다.